건축 여행

[스크랩] 한옥의 주요부재/한옥 구조

강병현 2012. 9. 7. 01:39

한옥의 주요부재
  • 기둥 : 기둥은 구조적으로 상부의 하중을 받아 지면에 전달하는 중요한 부재이다. 원주(圓柱)와 방주(方柱)가 있다. 도리기둥이라고도 부르는 원주는 본래 살림집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해왔는데 조선후기로 갈수록 잘 지켜지지 않았다. 한편 원형기둥은 입면형식에 따라 원통형기둥, 배흘림기둥, 민흘림기둥으로 분류되는데 한옥에서는 하부부터 상부까지 거의 같은 크기의 원통형기둥이 주로 사용되었다. 배흘림기둥은 기둥 중간에서 약간 아래쪽부분을 제일 굵게 하고 위로 길수록 얇게 한 기둥인데 이러한 기둥을 시각적으로 안정되게 보인다. 한옥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규모가 큰 정전 등에서 주로 보인다. 강릉 객사문,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등에서 아주 우수한 배흘림 기둥을 볼 수 있다. 민흘림 기둥은 아래에서 위로 길수록 얇아지는 기둥이다.
  • : 앞뒤 기둥의 상부에 걸리는 수평부재로 목조건축에서 제일 굵기가 큰(단면상) 부재이다. 보는 천장을 하지 않는 대청에서 제일 잘 보인다. 보는 가구형식에 따라 대들보(大樑), 중종보(中宗樑), 종보(宗樑), 퇴보(退樑), 우미량, 맞보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보통 규모의 한옥에서는 주로 대들보와 종보, 그리고 퇴보 정도만 사용되었다. 보의 단면 형식은 폭보다는 높이가 높은 방형의 보가 주로 쓰였고 직선 보다는 자연스럽게 휜 부재를 많이 썼다.
    퇴보 대들보

  • : 가구의 최상부에 횡으로 걸리는 부재로 서까래가 바로 이 위에 놓인다. 도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주심도리(기둥위에 놓인 도리), 종도리(제일 높은곳인 용마루 부분에 놓인 도리), 중도리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단면형식에 따라 굴도리(원형)와 납도리(방형)로 구분되는데 납도리는 서민의 살림집에서 주로 썼고 굴도리는 양반집의 사랑채 등 일부에서만 사용됐다.
가구형식
  • 3량가 : 3량가는 가구구조중 제일 간결한 가구기법으로 규모가 작은 건물, 즉 행랑채와 문간채, 퇴가 없는 민가 등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가구구조이다. 이 구조는 도리가 3개 걸리는데 대들보 중간에 놓이는 대공 위의 높은 곳 하나와 앞뒤 기둥 위에 낮은 곳 2곳이다. 높은 곳 도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서까래를 걸어 지붕 물매를 결정한다.
    3량가구 3량가구

  • 4량가 : 4량가는 3량가 형식에 건물 앞쪽으로 약간 높이가 낮은 기둥이 하나 더 세워지고 그 위로 도리가 걸리는 형식이다. 대개 민가 등에서 많이 보이는데 앞쪽의 기둥을 퇴기둥이라 하고 안쪽의 벽체 사이에는 마루(툇마루)가 놓여진다.
    4량가
  • 5량가 : 모두 5개의 도리가 걸리는 5량가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타입이 있다.
  • 2평주 5량가
  • 2평주 5량가는 한옥뿐만 아니라 사찰의 불전이나 향교의 대성전, 서원의 강당 등 전통건축에서 보편적으로 제일 많이 쓰이는 형식이다. 같은 높이의 앞뒤 기둥위에 대들보(큰보)를 걸고 보 양쪽에 동자주를 세워 다시 종보(작은보)를 걸고 그 중앙에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거는 형식이다. 이 형식은 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는 한옥의 대청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평주 5량가 2평주 5량가

  • 1평주 5량가
  • 이 형식은 전면으로 퇴간(툇마루)을 두는 남부지방의 한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다. 즉 전면 기둥(퇴주)과 반칸정도(3∼4자 정도) 사이를 두고 안쪽으로 높은 기둥(고주) 하나를 세우고 이 기둥의 상단부 쯤과 후면기둥사이에 대들보를 걸고 다시 고주 위에서 대들보에 놓인 대공위로 종보를 하나 더 거는 형식이다.
    1고주 5량가 1고주 5량가


  • 2고주 5량가
  • 이 형식은 전·후쪽의 평주(퇴주) 안쪽으로 반칸 정도 거리를 두고 이보다 다소 높은 기둥을 2개 세우고 이 기둥위로 대들보 하나만 거는 구조이다. 규모는 작으나 전후로 퇴간을 두는 민가에서도 이러한 형식은 볼 수 있다.
2고주 5량가


※ 민도리집과 소로수장집
한옥을 구분할 때 민도리집, 납도리집, 굴도리집, 소로수장집 등의 명칭이 흔히 쓰인다. 민도리집이란 이는 기둥상부에 바로 보를 올려 놓는 집으로 구조적으로 제일 간단한 집이다. 이 경우 납도리를 쓰면 ‘납도리집’이라고 하고 굴도리를 쓰면 ‘굴도리집’이 된다. 도리 아래로는 보강재로 네모난 단면의 장혀를 사용한 집도 있다. 한편 기둥상부에 횡으로 창방을 걸고 이와 장혀사이에 ‘소로’라는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끼워 넣은 집도 있는데 이런집을 ‘소로수장집’이라고 부른다. 소로수장집은 민도리집보다 장식적이고 우월하게 보인다.
1고주 5량가 1고주 5량가
한옥의골격(뼈대)
기단
집을 지을 때 지면(마당)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단(壇)을 만들고 그 위에서부터 집을 짓기 시작하는데 이때 만들어진 단이 바로 기단이다. 단을 만드는 목적은 지면으로부터의 1차적으로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막는데 있는데 특히 비가 올 때 낙수물이 기단 밖으로 떨어지게 되어있어 집을 보호하는데 매우 좋다. 사대부가옥에서는 위엄을 내세우기위해 일부러 기단 높이를 높게하기도 했다. 한옥에 사용된 기단의 종류에는 크게 토축기단과 석축기단이 있다.
  • 토축기단 : 서민들이 살던 민가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흙으로만 쌓기도 하고 일부 돌을 섞어 사용하기도 했다.
  • 석축기단 : 자연석을 사용한 자연석기단(막돌기단)이 있고 돌을 가로로 길게 다듬어 사용한 장대석 기단이 있다. 장대석 기단은 주로 반가에서 많이 보이는데 대개 1단(외벌대) 내지 2단(두벌대)으로 되어있다.
    자연석기단 장대석기단
초석
  • 기둥 밑에 놓여지는 돌을 말한다. 흔히 주춧돌이라고도 한다. 초석의 역할은 상부의 모든 하중을 기둥과 함께 효율적으로 지면에 전달해 준다. 초석의 종류에는 자연석 초석과 가공석 초석이 있다.
  • 자연석 초석 : 막돌초석, 또는 덤벙주초라고도 하며 둥글고 넓적한 자연석을 말한다. 이 초석은 상부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기둥 밑면을 돌에 맞추어 깎아낸다. 이러한 작업을 ‘그랭이질’이라고 한다.
    막돌초석 그랭이질
  • 가공초석 : 이 초석은 형식에 따라 원형초석과 방형초석이 있다. 한편 근대화 이후에는 한옥에서 사다리형 초석도 보이며 사랑채의 누마루 아래 등에는 높이가 매우 높은 방형장초석(方形長礎石)도 사용하였다.
    원형초석 방형초석
벽체
한옥에서 벽체는 주로 기둥사이에 만들어져 실 내외를 구분하고 내부 칸막이 역할도 한다. 벽체의 주 재료는 흙이기 때문에 넓은 벽면을 모두 흙으로 채우기는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기둥사이에 인방같은 수평부재를 걸고 벽체를 만듭니다.
벽체
  • 인방 : 이웃한 기둥과 기둥사이를 가로 지르는 수평부재다. 보통 한옥에서 상·중·하로 세 개가 걸리는데 그 위치에 따라 상인방, 중인방, 하인방으로 구분된다. 보통 상 하인방사이에 문이 설치된다.
  • 벽선 : 벽선은 기둥 바로 옆에 대는 수직부재다. 즉 기둥과 벽체(흙벽)와의 완충역활을 해준다.
  • 심벽 : 한옥뿐만 아니라 한국의 목조건축에서 가장 널리 보이는 벽체구성방식이다. 심벽은 인방사이에 중깃(1∼1.5치 정도의 가는목재)을 세우고 다시 수평으로 가시새가 설치된다. 여기에 다시 수수깡, 싸리나무 등으로 눌외와 설외를 대고 흙을 채운 후 면을 마감한다. 마감은 반가의 경우는 회를 발라 하얗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회벽이라고 한다. 서민의 집에서는 그냥 흙벽 자체로 두는 경우가 많다.
  • 판벽 : 중인방 아래를 판재로 마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판벽(板壁)이라고 한다. 사람이 거처하지 않는 헛간채, 부엌 등에 주로 쓰인다.
    판벽
  • 화방벽 : 중인방 아래로 돌 등으로 두껍게 쌓은 벽을 말한다. 내구성이 있어 화재나 습기방지에 좋다. 문간채 외벽 등에 주로 쓰인다.
    화병박
  • 죽담벽 : 돌과 흙을 번갈아 쌓아 벽전체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죽담벽 집의 경우는 대게 기둥이 전면에만 2~3개정도만 들어간다. 민가에서도 아주 열악한 살림집 내지는 측간채 등에서 사용된다.
    죽담벽1 죽담벽2
  • 토벽 : 흙만으로 반죽하여 쌓은 벽이다.
지붕
지붕은 한옥의 전체 구성비례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편 지붕은 크고 육중하지만 용마루나 추녀 등의 곡선과 기와의 반듯한 선 등이 있어 한옥의 아름다움이 한층 더 드러나고 있다. 한편 한옥의 깊은 처마는 그늘을 만들어 여름철의 뜨거운 태양열을 차단해준다. 비가 올 때도 창문을 열수 있게 해주고 습기가 내부로 들어오는 것도 상당부분 막아준다.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
맞배지붕 합각 암키와
맞배지붕 합각 암키와
수키와 홀처마 겹처마
수키와 홀처마 겹처마
와구토 추녀 일식기와
와구토 추녀 일식기와
지붕은 사용재료에 따라 초가지붕, 기와지붕, 너와지붕 등이 있다. 기와지붕의 경우 형태에 따라 맞배지붕,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 등이 있는데 한옥의 경우는 안채와 사랑채 등에 팔작지붕이 제일 많이 보이고 사당이나 곡간채 등에서는 맞배지붕이 많이 보인다.
기와를 얹기 위해서는 서까래 위에 개판으로 1차 마감한다. 개판위로 다시 서까래를 눌러주고 지붕 물매를 잡기 위해 잡목이나 치목후 남은 목재 등을 채워주는데 이를 적심이라고 한다. 적심위에는 단열과 지붕골을 위해 일정 두께의 흙을 깔아주는데 이를 보토라고 한다. 흙에는 방수목적으로 생석회를 섞어 강회다짐을 하기도 한다.
지붕에서 제일 돋보이는 곳은 역시 기와다. 전통기와의 구성은 크게 암키와와 수키와로 구분된다. 기와 밑에는 차진 흙은 까는데 암키와 밑에 까는 흙을 알매흙이라 하고 수키와 밑의 흙은 홍두께흙이라고 한다. 처마끝 기와는 막새기와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강회를 써 하얗게 발라준다.(와구토) 일본의 살림집에서는 암키와만 사용되고 중국의 경우는 우리기와와 달리 작은 기와가 촘촘히 놓여진다.
창호
창호는 한옥에 사용된 창과 문을 총칭하는 용어다. 창호는 개폐형식, 살대의 형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출입을 위한 문 : 판장문, 골판문, 불발기 등
죽살문(좌) 판장문 들어열개창
죽살문(좌) 판장문 들어열개창
  • 환기 목적용 창 : 살창, 교창 등
살창 봉창(좌) 걸창
살창 봉창(좌) 걸창
  • 살대구성등 창호모양 : 띠살, 용자살, 아자살, 정자살, 빗살, 소슬빗살, 귀갑, 숫대살
빗살 띠살문
빗살 띠살문
창 아래에는 ‘머름’이라는 높은 문지방이 설치되기도 한다. 높이는 보통 30∼40㎝ 정도인데 이 정도의 높이면 마당에서 보아도 방안의 모습이 잘 보이지 않는다. 머름을 설치하면 집이 훨씬 고급스러워 보인다.
머름

 

 

 

 

머름

 

 

 

 

한옥 구조:한옥은 나무를 사용하여 기둥,보,도리로 집의 골격을 만든다.이러한 구조의 집을 목조가구식 건축이라 부른다

              
   dia_red.gif한국 전통  지붕 형식은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되고,  그 밖에 이들 형식이 기본형이 되어 여러 가지 복합형을 형성하였다
  맞배 지붕

건물의 앞뒤로만 경사진 지붕을 만든것으로 양측면에는 삼각형의 벽을 만드는데,이를 박공이라 부른다

정면에서 보면 장방형의 지붕면이 보이며, 측면에서는 지붕면 테두리(내림마루)가 보일 뿐이다.

맞배지붕은 측면 가구(架構)가 노출되므로 측면관(側面觀)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우진각 지붕
지붕 네 모서리의 추녀마루가 처마 끝에서부터 경사지게 오르면서 용마루 또는 지붕의 중앙 정상점에서 합쳐지는 형태의 집.

현대주택의 모임지붕에 해당되는 형태이다

팔작 지붕(합각 지붕)
합각(合閣)지붕, 팔작집이라고도 한다.

지붕 위까지  박공이 달려 용마루 부분이 삼각형의 벽을 이루고 처마끝은 우진각지붕과 같다.

맞배지붕과 함께 한식 가옥에 가장 많이 쓰는 지붕의 형태이다.


그외에 정다각형 평면의 집에 사용되는 지붕으로 형면에 따라서 사모지붕,육모지붕,팔모지붕등으로 세분한다
 
   dia_red.gif기둥상부의 결구 방법 : 한옥은 기둥상부에 보를 어떻게 올려 놓느냐에 따라서 크게 민도리집,익공집,포집으로 나누어진다.이에 따라서 집의 형식이나 구조가 크게 달라진다.

 
한옥에서는 서까래-도리-보-기둥으로 이어지는 구조체계가 지붕의 하중을 받는다

             
      


민도리집
기둥바로위에 보를 올려놓은집이다.
민도리집은 한옥에서 가장 단순한 구조로 살림집에 사용하였다
이것은 다시보위에 올리는 도리의 단면형태에 따라서 납도리집과 굴도리집으로 분류한다.

굴도리집
은 둥근 단면의 굴도리로 지은 집이다.
창방과 도리는 별도부재로 사용하고 도리아래에는 네모난 단면의 장여를 사용한다.
창방과 장여사이에 높이 차이가생기므로 그사이에 소로라는 부재를 사용한다.
그래서 소로수장집이라 부르기도 한다.

납도리집은 기둥위헤 바로 보를 올려놓고 그위에다가 창방의 역활을 겸하는 네모난단면의 납도리를 올려 놓는다.


익공집

기둥머리에 익공이라는 부재를 창방과 직각이으로 끼우고 그위에 주두를 올려놓아 보를 받치도록 한 구조의 집이다.
민도리집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구 이부분이 건물 외관을 장식하고 그만큼 집의 높이가 높아진다.익공집은 민도리집보다 집의격식을 한층높인것이라 할수 있다.


익공집은 다시사용한 익공의 단수에 따라서 초익공집,이익공집,삼익공집으로 나눈다.

초익공집은 익공을 하나만 사용한 후에 주두를 두어 보를 받은것이다.

이익공집은 초익공집의 주두위에 다시익공을 올려놓고,그것과 직각으로 행공이라는 부재를 올려놓은다음 주두 보다더작은 주두를 올려서 보를 받은것이다.

삼익공집은 이익공집에 한번더 익공을 사용한 것이다



포집은 기둥위에 주두를 올려놓은 다음 살미,첨차,소로로 구성된 공포를 두어 보를 받치도록한 집이다

기존의 공포 분류방식은 다포, 주심포, 익공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다.

다포형식이란 포의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법으로 기둥 위와 기둥사이에도 포가 놓인 공포형식을 말한다.즉 포가 많다는 의미이다.
이때 기둥 위에 있는 포를 '주심포'기둥사이에 놓인 포를 '주간포' 또는 '간포'라고 한다.
조선시대 부재의 규격화와 구조의 합리화에 따라 나타난 형식인데 고려 말부터 다포형식이 쓰였지만 주로 조선시대에 사용되었고,큰 건물과 정전에는 다포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포형식은 팔작지붕이 많으며,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출처 : 우리궁궐13
글쓴이 : 아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