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진심장구 상(盡心章句 上) 9. 孟子謂宋句踐(맹자위송구천)
맹자(孟子) 진심장구 상(盡心章句 上) 9. 孟子謂宋句踐(맹자위송구천)
孟子謂宋句踐曰子好遊乎(맹자위송구천왈자호유호)아
맹자가 송 구천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유세하기를 좋아하시오?
吾語子遊(오어자유)하리라
내가 당신에게 유세하는 것을 말하겠다.
人知之(인지지)라도
남이 자기 말을 알아주어도
亦囂囂(역효효)하며
태연해야 하고
人不知(인불지)라도
자기 말을 알아주지 않아도
亦囂囂(역효효)니라
태연해야 한다.”
曰何如(왈하여)라야
“어떻게 해야
斯可以囂囂矣(사가이효효의)니잇고
태연해질 수 있습니까?”
曰尊德樂義(왈존덕락의)면
“덕을 존중하고 의리를 즐거워하면
則可以囂囂矣(칙가이효효의)니라
태연해질 수 있소
故(고)로
그래서
士(사)는
선비는
窮不失義(궁불실의)하며
궁해져도 의리를 잃어버리지 않고
達不離道(달불리도)니라
잘 돼도 정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요.
窮不失義(궁불실의)라
궁해져도 의리를 잃어버리지 않는다.
故(고)로
그래서
士得己焉(사득기언)하고
선비는 자기의 본성을 유지하고
達不離道(달불이도)라
잘 돼어도 정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故(고)로
그래서
民不失望焉(민불실망언)이니라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 것이다.
古之人(고지인)이
옛날 사람들이
得志(득지)하얀
뜻을 이루게 되면
澤加於民(택가어민)하고
은택이 백성들에게 가해졌고
不得志(불득지)하얀
뜻을 이루지 못하면
修身見於世(수신견어세)하니
자신이 덕을 닦아서 세상에 뚜렷이 나타났었다.
窮則獨善其身(궁칙독선기신)하고
궁해지면 혼자서 자신을 선하게 해 나갔고
達則兼善天下(달칙겸선천하)니라
잘 되면 동시에 천하를 선하게 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