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雜篇 25. 즉양(則陽 ) 7. 백성들의 죄는 위정자의 책임이다.
莊子 雜篇 25. 즉양(則陽 ) 7. 백성들의 죄는 위정자의 책임이다.
柏矩學於老聃曰(백구학어노담왈)
백구가 노자에게 배우고 있을 때 말했다
請之天下遊(청지천하유)
“천하를 다니며 노닐 수 있게 허락하여 주십시오.”
老聃曰(노담왈)
노자가 말했다.
已矣(이의)
“그만두어라
天下猶是也(천하유시야)
천하도 이곳이나 같은 것이다.”
又請之(우청지)
그러나 다시 요청하니
老聃曰(노담왈)
노자가 물었다.
汝將何始(여장하시)
“어디서부터 유람을 시작하겠느냐?”
曰始於齊(왈시어제)
백구가 말하기를, “제나라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至齊(지제)
백구는 제나라로 가서
見辜人焉(견고인언) 推而强之(추이강지)
처형당한 시체를 보고는 밀어 바로 눕히고
解朝服而幕之(해조복이막지) 號天而哭之曰(호천이곡지왈)
자기의 예복을 벗어 그 시체를 덮어주고 하늘을 보며 통곡하여 말했다.
子乎子乎(자호자호)
자네여 자네여
天下有大菑(천하유대치) 子獨先離之(자독선리지)
“아! 천하에는 큰 재난이 많은데 그대 홀로 먼저 당하였구나.
曰莫爲盜(왈막위도)
이르기를, 그대는 도둑질을 한 것은 아니었나?
莫爲殺人(막위살인)
살인을 한 것은 아니었나?
榮辱立(영욕립) 然後覩所病(연후도소병)
영예와 치욕을 따지게 된 뒤에야 고민이 생기는 것이다.
貨財聚(화재취) 然後覩所爭(연후도소쟁)
재물을 모으게 된 뒤에야 다툼이 생기는 것이다.
今立人之所病(금립인지소병)
지금 세상에서는 사람들을 고민하게 하는 일들을 내세우고,
聚人之所爭(취인지소쟁)
사람들을 다투게 하는 것을 모음으로써
窮困人之身使無休時(궁곤인지신사무휴시)
사람들의 몸을 쉴 새도 없이 곤궁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欲無至此(욕무지차) 得乎(득호)
그러니 그대와 같은 처지를 당하지 않으려 한들 할 수가 있겠는가?
古之君人者(고지군인자)
옛날의 임금들은
以得爲在民(이득위재민) 以失爲在己(이실위재기)
이득은 백성들에게 돌리고, 손실은 자기에게로 돌렸었다.
以正爲在民(이정위재민) 以枉爲在己(이왕위재기)
정당한 것은 백성들에게 돌리고, 비뚤어진 것은 자기에게로 돌렸었다.
故一形有失其形者(고일형유실기형자)
그러므로 한 사람이라도 자신에게 실수가 있을 때에는
退而自責(퇴이자책)
물러나서 스스로를 책망했던 것이다.
今則不然(금칙불연)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
匿爲物而過不識(익위물이과불식)
숨어서 일을 결정하고는 알지 못하는 자들을 우롱하며,
大爲難而罪不敢(대위난이죄불감)
어려운 일을 하게하고서 하지 못하는 자들을 벌준다.
重爲任而罰不勝(중위임이벌불승)
무거운 임무를 맡겨 놓고 감당하지 못하는 자들을 처벌한다.
遠其塗而誅不至(원기도이주불지)
먼 길을 가게하고 이르지 못하는 자들을 처형한다.
民知力竭(민지력갈) 則以僞繼之(칙이위계지)
그리고 백성들의 능력과 지혜가 다하면 곧 허위로 일을 충당한다.
日出多僞(일출다위)
위정자가 날로 허위적인 일을 많이 하게 되면
士民安取不僞(사민안취불위)
백성들이 어떻게 허위의 일을 하지 않게 되겠는가?
夫力不足則僞(부력부족칙위) 知不足則欺(지부족칙기)
힘이 부족하면 속이게 되고, 지혜가 부족하게 되면 자기를 놓게 되며,
財不足則盜(재부족칙도)
재물이 부족하게 되면 도둑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盜竊之行(도절지행) 於誰責而可乎(어수책이가호)
도둑질이 행해지는 것을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