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雜篇 26. 외물(外物 ) 2. 모든 일은 때와 경우에 알맞아야 한다.
莊子 雜篇 26. 외물(外物 ) 2. 모든 일은 때와 경우에 알맞아야 한다.
莊周家貧(장주가빈)
장자가 집이 가난하여
故往貸粟於監河侯(고왕대속어감하후)
감하후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監河侯曰(감하후왈)
감하후가 말했다.
諾我將得邑金(낙아장득읍금)
“좋습니다. 영지의 세금을 거둬들여
將貸子三百金(장대자삼백금)
선생에게 삼백 금을 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可乎(가호)
괜찮겠습니까?”
莊周忿然作色曰(장주분연작색왈)
장자는 화가나 얼굴빛이 변하며 말했다.
周昨來(주작래)
“내가 어제 이곳에 오는데
有中道而呼者(유중도이호자)
도중에 나를 부르는 것이 있었습니다.
周顧視車轍中(주고시차철중) 有鮒魚焉(유부어언)
돌아다보니 수레바퀴자국 가운데에 붕어가 있었습니다.
周問之曰(주문지왈)
장자가 그것을 물었습니다.
鮒魚來(부어래) 子何爲者邪(자하위자사)
‘붕어야,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이냐?’
對曰(대왈)
붕어가 대답했습니다.
我東海之波臣也(아동해지파신야)
‘저는 동해 용왕의 신하입니다.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군기유두승지수이활아재)
한 말이나 몇 됫박의 물이 있으면 저를 살려주시겠습니까.’
周曰(주왈)
장주가 말했습니다.
諾我且南遊吳越之土(낙아차남유오월지토)
‘그런가, 내가 남쪽의 오나라와 초나라의 임금을 설득시켜
激西江之水而迎子(격서강지수이영자)
서강의 물을 끌어다가 너를 맞이하도록 하겠다.
可乎(가호)
어떠냐?’
鮒魚忿然作色曰(부어분연작색왈)
붕어는 성이 나서 얼굴빛이 변하며 말했습니다.
吾失我常與(오실아상여)
‘저는 제가 늘 필요로 하는 물을 잃고 있어서
我無所處(아무소처)
당장 몸 둘 곳이 없습니다.
吾得斗升之水然活耳(오득두승지수연활이)
저는 한 말이나 몇 됫박의 물만 있으면 살 수 있습니다.
君乃言此(군내언차)
선생의 말 대로하려면
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증불여조색아어고어지사)
차라리 저를 건어물 가게에 가서 찾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