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3.子路編 9.부(富)하면 가르쳐라.
子適衛(자적위)하실새 冉有僕(염유복)이러니
공자께서 위나라에 가실 적에 염유가 수레를 몰고 있었다.
子曰(자왈) 庶矣哉!(서의재)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백성이 많구나!”고 하셨다.
冉有曰(염유왈)
염유가 여쭙기를,
“旣庶矣(기서의)어든 又何加焉?”(우하가언)이리잇고
“이미 백성이 많은데 또 무엇을 더하겠습니까“고 말하니
曰(왈) “富之”(부지)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부유하게 해주어야 한다.”고 하셨다.
曰(왈) “旣富矣(기부의)어든 又何加焉?”(우하가언)이리잇고
여유가 말하기를, “부유하게 된 다음에는, 또 무엇을 더 해주어야합니까.”고 하니
曰(왈) “敎之”(교지)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그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13.子路編 11.선인(善人)의 정치 (0) | 2016.02.26 |
---|---|
論語 13.子路編 10.정치에 대한 공자의 자신감 (0) | 2016.02.26 |
論語 13.子路編 8.집안을 잘 다스린 위(衛) 공자(公子) 형(荊) (0) | 2016.02.26 |
論語 13.子路編 7.노나라와 위나라의 정치는 형제와 같다. (0) | 2016.02.26 |
論語 13.子路編 6.위정자의 몸가짐이 올바르면 백성은 따른다. (0) | 201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