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6. 유애(遺愛 : 사랑을 남김)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6. 유애(遺愛 : 사랑을 남김) 原文 旣沒而思(기몰이사) 廟而詞之(묘이사지) 죽은 뒤에 사모하여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낸다면 則其遺愛(즉기유애) 可知矣.(가지의.) 그 남긴 사랑은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生而詞之(생이사지) 非禮也(비예야) 살아 있을 때 사당을 .. 牧民心書[完] 2014.05.08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5. 은졸(隱卒 : 임소에서의 운명)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5. 은졸(隱卒 : 임소에서의 운명) 原文 在官身沒(재관신몰) 而淸芬益烈(이청분익열) 임소(任所)에서 죽어 맑은 덕행이 더욱 강렬(强烈)하며 吏民愛悼(이민애도) 攀輀號挑(반이호도) 아전과 백성이 슬퍼하고 상여를 붙잡고 호곡(號哭)하며 旣久而不能忘者(기구.. 牧民心書[完] 2014.05.08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4. 걸유(乞宥 : 구명을 호소하는 민의)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4. 걸유(乞宥 : 구명을 호소하는 민의) 原文 文法所坐(문법소좌) 黎民哀之(여민애지) 법률에 저축된 자를 백성들이 불쌍히 여겨 相率龥天(상솔유천) 冀宥其罪者(기유기죄자) 서로 임금께 호소하며 그 죄를 용서해 주기를 바라는 것은 前古之善俗也.(전고지선속.. 牧民心書[完] 2014.05.08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3. 원류(願留 : 유임하기를 원함)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3. 원류(願留 : 유임하기를 원함) 原文 惜去之切(석거지절) 遮道願留(차도원유) 떠나가는 것이 못내 아쉬워 길을 막고 유임하기를 원하며 流輝史冊(유휘사책) 以照後世(이조후세) 그 빛을 역사책에 남김으로써 후세(後世)에 전하는 것은 非聲貌之所能爲也.(비성모.. 牧民心書[完] 2014.05.08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2. 귀장(歸裝 : 돌아가는 행장)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2. 귀장(歸裝 : 돌아가는 행장) 原文 淸士歸裝(청사귀장) 脫然瀟灑(탈연소쇄) 청렴한 선비의 퇴임 행장은 깨끗하여 弊車羸馬(폐거리마) 其淸飇襲人.(기청표습인.) 낡은 수레와 여윈 말일지언정 맑은 바람이 사람을 감싼다. 笥籠(사농) 無新造之器(무신조지기) .. 牧民心書[完] 2014.05.08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1. 체대(遞代 : 벼슬이 갈림) 12綱 해관육조(解官六條) 1. 체대(遞代 : 벼슬이 갈림) 原文 官必有遞(관필유체) 遞而不驚(체이불경) 벼슬은 반드시 체임(遞任)되게 마련이니, 갈려도 놀라지 않고 失而不戀(실이불연) 民斯敬之矣.(민사경지의.) 잃어도 연연하지 않으면 백성이 공경할 것이다. 棄官如蹝(기관여사) 古之.. 牧民心書[完] 2014.05.05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6. 준사(竣事 : 재민 구호의 결산)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6. 준사(竣事 : 재민 구호의 결산) 原文 賑事將畢(진사장필) 點檢始終(점검시종) 구제하는 일이 끝날 때에는 시종(始終)을 점검하고 所犯罪過(소범죄과) 一一省察.(일일성찰.) 범한 죄과를 낱낱이 살펴야 할 것이다. 自備之穀(자비지곡) 將報上司(장보상사) 스스로 .. 牧民心書[完] 2014.05.05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5. 보력(補力 : 힘을 보탬)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5. 보력(補力 : 힘을 보탬) 原文 歲事旣判(세사기판) 농사가 흉작으로 판정되었거든 宜飭水田(의칙수전) 代爲旱田(대위한전) 마땅히 신칙하여 논을 밭으로 만들도록 하고 旱播他穀(한파타곡) 及秋(급추) 申勸種麥(신권종맥) 다른 곡식을 심도록 하고 가을이 되면 .. 牧民心書[完] 2014.05.05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4. 설시(設施 : 구호시설의 확충)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4. 설시(設施 : 구호시설의 확충) 原文 乃設賑廳(내설진청) 乃置監吏(내치감리) 구제하는 관청을 설치하고 감리(監吏)를 두며 乃具錡釜(내구기부) 乃具鹽醬海帶乾鰕.(내구염장해대건하.) 가마솥이나 소금. 간장. 미역. 마른 세우 등을 갖추어 놓아야 한다. 乃簸.. 牧民心書[完] 2014.05.05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3. 규모(規模 : 사랑의 정을 발휘) 11綱 진황육조(賑荒六條) 3. 규모(規模 : 사랑의 정을 발휘) 原文 賑有二觀(진유이관) 흉년에 구제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으니 一曰及期(일왈급기) 一曰有模(일왈유모) 첫번째는 시기에 맞추는 것이요. 두번째는 규모가 있는 것이다. 救焚拯溺(구분증익) 불에서 구하고 물에 빠진 .. 牧民心書[完] 201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