尉繚子 兵令下(병령하) 4[백만의 군사가 있다고 해도.]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4[백만의 군사가 있다고 해도.] 臣聞古之善用兵者,(신문고지선용병자) 제가 듣건대 옛날 용병에 뛰어났던 자는 能殺士卒之半,(능살사졸지반) 능히 사졸을 반만 덜고도 승리해 냈으며 其次殺其十三,(기차살기십삼) 그 다음은 열에 셋을 덜고도 승리해 냈으며 其..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3[병적에 이름만 올라 있는 자.]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3[병적에 이름만 올라 있는 자.] 軍之利害,(군지리해) 군대의 승리와 손해는 在國之名實.(재국지명실) 나라 군대의 인원과 실제 전투 인원이 맞아야 합니다. 今名在官,(금명재관) 지금 명부상으로는 관에 그 이름이 올라 있으면서 而實在家,(이실재가) 실제로는 ..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2[전우의 시신이라도 거두어야.]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2[전우의 시신이라도 거두어야.] 諸戰而亡其將吏者,(제전이망기장리장) 전투 중에서 그 장리를 떠나는 자와 及將吏棄卒獨北者,(급장리기졸독배자) 盡斬之.(진참지) 패하여 병졸을 버리고 혼자 도망친 장리는 모두 참수합니다. 前吏棄其卒而北,(전리기기졸이배)..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1[징집 날짜를 넘긴 병사.] 尉繚子 兵令下(병령하) 1[징집 날짜를 넘긴 병사.] 諸去大軍爲前禦之備者, (제거대군위전어지비자) 대군을 떠나 전방에서 방어하며 수비하는 여러 군사들은 邊縣列候各相去三ㆍ五里.(변현렬후각상거삼오리) 변방의 현과 여러 변새로부터 각기 3리 혹은 5리씩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4[허실은 병법의 요체이다.]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4[허실은 병법의 요체이다.] 陳之斧鉞,(진지부월) 飾之旂章,(식지기장) 부월을 진열하고, 기장을 장식으로 꾸며 有功必賞, (유공필상) 공이 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상을 내리며 犯令必死,(범령필사) 법령을 범한 자에게는 반드시 사형을 내려야 합니다. 存亡死..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3[모든 일에 규율과 법령이 있어야 한다.]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3[모든 일에 규율과 법령이 있어야 한다.] 出卒陳兵有常令,(출졸진병유상령) 출병과 포진에는 군율이 있으며 行伍疏數有常法,(행오소수유상법) 대형의 밀도에도 일정한 기준이 있으며 先後之次有適宜.(선후지차유적의) 선후 순서에도 적당한 규정이 있습니다. ..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2[자신의 장수를 적보다 더 두려워해야.]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2[자신의 장수를 적보다 더 두려워해야.] 專一則勝,(전일즉승) 하나로 통일하기에 온 힘을 기울이면 승리할 것이요 離散則敗.(이산즉패) 흩어져 분산시키면 패배할 것입니다. 陳以密則固,(진이밀즉고) 진을 치되 긴밀하게 하면 견고해 질 것이며 鋒以疏則達.(봉..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1[어떠한 전쟁도 인의에 근본을 두라.] 尉繚子 兵令上(병령상) 1[어떠한 전쟁도 인의에 근본을 두라.] 兵者,(병자) 凶器也.(흉기야) 무기란, 흉악한 도구이며 爭者,(쟁자) 逆德也.(역덕야) 전쟁이란 덕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事必有本,(사필유본) 일이란 반드시 그 근본이 있는 것이니 故王者伐暴亂,(고왕자벌포란) 그 때문에 ..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敎下(병교하) 5[잘못된 책략이 나라를 망친다.] 尉繚子 兵敎下(병교하) 5[잘못된 책략이 나라를 망친다.] 凡將輕,(범장경) 壘卑,(누비) 무릇 장수는 경솔하고, 보루가 낮으며 衆動,(중동) 可攻也.(가공야) 민중이 동요하는 상대라면, 공격할 수 있습니다. 將重,(장중) 壘高,(누고) 그러나 장수가 중엄하고 보루가 높으며 衆懼,(중구) 可圍.. 위료자[完] 2014.08.30
尉繚子 兵敎下(병교하) 4[적지에서 약탈을 일삼지 말라.] 尉繚子 兵敎下(병교하) 4[적지에서 약탈을 일삼지 말라.] 凡興師,(범흥사) 必審內外之權,(필번내외지권) 무릇 군대를 일으킬 때는 반드시 내외의 권형을 헤아려 以計其去.(이계기거) 그 군대의 거취를 계산하여야 합니다. 兵有備闕,(병유비궐) 糧食有餘不足,(양식유여부족) 군대에게 모.. 위료자[完] 201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