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3 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3 凡從奔(범종분)에 勿息(물식)이로되。 무릇 도망하는 적을 추격할 적에는 그치지 말되, 敵人或止於路(적인혹지어로)면 則慮之(즉려지)니라。 적이 혹 도로에서 멈추고 있으면 적의 복병을 염려하여야 한다. 凡近敵都(범근적도)에 必有進路(필유진로)니 ..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2 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2 凡戰(범전)에 背風背髙(배풍배고)하고 무릇 전투할 적에는 바람을 등지고 높은 산을 등지며, 右髙左險(우고좌험)하고 높은 산을 오른쪽에 두고 험한 곳을 왼쪽에 두며, 歷沛歷圮(역패역이)하고 兼舎環龜(겸사환구)니라。 늪지대와 무너지..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1 司 馬 法 用 衆 第 五 병력의 운용 1 凡戰之道(범전지도)는 用寡固(용과고)하고 무릇 陣을 치고 싸우는 방도는 적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진영을 견고히 하고, 用衆治(용중치)하며 많은 병력을 사용할 적에는 진영을 정돈되게 하며, 寡利煩(과리번)하고 병력이 적을 적에는 자주 변화함이 ..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7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7 凡民(범민)은 以仁救(이인구)하고 以義戰(이의전)하고 以智決(이지결)하고 무릇 백성은 仁으로써 구원하고, 義로써 싸우고, 智로써 결단하고, 以勇闘(이용투)하고 以信專(이신전)하며 以利勸(이리권)하고 以功勝(이공승)이라。 勇으로써 싸우고, 信..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6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6 人方有性(인방유성)하니 사람은 방위(지역)에 따라 성질이 있으니, 性州異(성주이)나 教成俗(교성속)이요 성질은 州마다 다르나 가르치면 아름다운 풍속을 이루고, 俗州異(속주이)나 道化俗(도화속)이니라。 풍속은 州마다 다르나 道로 교화하면 아..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5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5 凡戰之道(범전지도)는 敎約(교약)이면 人輕死(인경사)요 모든 전투하는 방도는, 教令으로 약속하면 사람들이 죽는 것을 가볍게 여기고, 道約(도약)이면 人死正(인사정)이니라。 道義로 약속하면 사람들이 正道에 죽는다. 凡戰(범전)은 若勝(약..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4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4 舎(사)에 謹兵甲(근병갑)하고 行(행)에 愼行列(신행렬)하고 머물러 있을 적에는 병기와 갑옷을 삼가고, 행군할 적에는 항렬을 삼가고, 戰(전)에 謹進止(근진지)니라。 싸울 적에는 멈추고 나아감을 삼가야 한다. 凡戰(범전)은 敬則慊(경즉겸)하고 率則..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3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3 凡車(범거)는 以密固(이밀고)하고 徒(도)는 以坐固(이좌고)하고 무릇 전차는 밀집함으로써 견고하고, 보병은 앉음으로써 견고하고, 甲(갑)은 以重固(이중고)하고 兵(병)은 以輕勝(이경승)이니라。 갑옷은 무거움으로써 견고하고, 병기는 가벼움으로써 승..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2 銜枚誓(함매서)하고 糗坐(구좌)하고 銜枚(枚를 입에 묾)를 하고 맹세하며 마른 양식을 먹을 적에 앉히고서 膝行而推之(슬행이추지)니라, 무릎으로 기어가 미루어주게 한다. 執戮禁顧(집륙금고)하고 적을 잡아 죽일 적에 병사들이 머리를 돌리는 것을.. 司馬兵法[完] 2016.04.22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1 司 馬 法 嚴 位 第 四 기강의 확립 1 凡戰之道(범전지도)는 位欲嚴(위욕엄)이요 무릇 陣을 치고 싸우는 방도는, 병사들의 위치는 엄정해야 하고, 政欲栗(정욕률)이요 力欲佻(력욕배)요 정사는 엄격해야 하고, 힘은 경쾌해야 하고, 氣欲閑(기욕한)이요 心欲一(심욕일)이니라。 기운은 익.. 司馬兵法[完] 2016.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