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5.衛靈公編 30.학문과 사색 論語 15.衛靈公編 30.학문과 사색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吾嘗終日不食(오상종일불식)하고 終夜不寢(종야불침)하여 “내가 일찍이 온종일 먹지 않고 밤이 새도록 자지 않고 以思(이사)하니 無益(무익)이라 생각하였으나 유익한 것이 없는지라 不如學也(불여학야)로라 배우는 것만 .. 논어(論語)[完] 2016.03.16
論語 15.衛靈公編 29.참다운 잘못 論語 15.衛靈公編 29.참다운 잘못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過而不改(과이불개)가 是謂過矣(시위과의)니라 “허물이 있는 것을 고치지 않으면 이것이 허물인 것이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2016.03.16
論語 15.衛靈公編 28.사람과 도는 떨어질 수 없다. 論語 15.衛靈公編 28.사람과 도는 떨어질 수 없다.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人能弘道(인능홍도)요 “사람이 능히 도를 넓히는 것이지 非道弘人(비도홍인)이니라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은 아니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2016.03.16
한결같은 검소함이 도를 따르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9장) 한결같은 검소함이 도를 따르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9장) 治人事天莫若嗇(치인사천막약색) 사람을 지도하고 하늘을 섬기는 일에 검약하는 일보다 좋은 것은 없다 夫唯嗇(부유색) 검약하는 일은 是以早服(시이조복) 일찌감치 도를 따르는 일이다 早服(조복) 일찌감치 도를 따른다는 것은.. 道德經[完] 2014.01.22
절대적인 진리란 없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8장) 절대적인 진리란 없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8장) 其政悶悶(기정민민) 정치가 맹맹하면 其民淳淳(기민순순) 백성이 순박해지고 其政察察(기정찰찰) 정치가 똑똑하면 其民缺缺(기민결결) 백성이 못되게 된다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화라고 생각되는 데서 복이 나오고 福兮禍之所伏(.. 道德經[完] 2014.01.22
법령이 많을수록 도둑은 는다. (노자 하편 제57장) 법령이 많을수록 도둑은 는다. (노자 하편 제57장) 以正治國(이정치국) 나라를 다스릴 때에는 올바름이 필요한다 以奇用兵(이기용병) 전쟁에 임할 때는 임기응변이 있어야 한다 以無事取天下(이무사취천하) 그러나 세상을 얻기 위해서는 <함이 없음>을 실천하라 吾何以知其然哉(오하.. 道德經[完] 2014.01.22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 (노자 하편 제56장)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 (노자 하편 제56장) 知者不言(지자불언)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言者不知(언자불지)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塞其兌(새기태) 입을 다물고 閉其門(폐기문) 문을 꽉 닫는다 挫其銳(좌기예) 날카로운 것을 무디게 하고 解其分(해기분) 얽힌 것을 풀어주고 和.. 道德經[完] 2014.01.22
자연의 도가 아닌 것은 금방 앞이 막힌다. (노자 하편 제55장) 자연의 도가 아닌 것은 금방 앞이 막힌다. (노자 하편 제55장) 含德之厚(함덕지후) 덕을 두터이 지닌 사람은 比於赤子(비어적자) 갓난아이와 같다 蜂蠆蛇不螫(봉채사불석) 독이 있는 벌레나 뱀이 쏘지도 못하고 猛獸不據(맹수불거) 사나운 짐승이 덤벼들지도 못하고 攫鳥不搏(확조.. 道德經[完] 2014.01.22
몸가짐은 무겁게 마음가짐은 가볍게【前集 106】 몸가짐은 무겁게 마음가짐은 가볍게 【前集 106】 士君子持身不可輕。(사군자지신불가경.) 선비는 몸가짐을 가벼이 해서는 안 되니 輕則物能撓我,(경즉물능요아.) 가벼이 하면 사물에 마음을 주어 而無悠閑鎭定之趣。(이무유한진정지취.) 흔들어 한가롭고 침착한 맛이 없어지느니라. .. 菜根譚[完] 2014.01.22
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5. 절용(節用 : 절약해서 쓰는 것.) 2綱 율기육조(律己六條) 5. 절용(節用 : 절약해서 쓰는 것.) 原文 善爲牧者(선위목자) 必慈(필자) 목민을 잘하는 자는 반드시 인자해야 한다. 欲慈者(욕자자) 必廉(필렴) 인자하게 하려는 자는 반드시 청렴해야 하며 欲廉者(욕염자) 必約(필약) 청렴하게 하려는 자는 반드시 검약하니 節用者(.. 牧民心書[完] 201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