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10. 죽음은 도에 따른 자연현상이다.
中國有人焉(중국유인언)
“이 땅 중국에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非陰非陽(비음비양)
사람은 음도 아니고 양도 아니어서
處於天地之間(처어천지지간)
하늘과 땅 사이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直且爲人(직차위인)
그들은 잠시 동안 사람으로 존재하지만,
將反於宗(장반어종)
결국은 그 근본으로 되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自本觀之(자본관지)
그 근본에서 본다면
生者(생자)
삶이란 것은
喑醋物也(암초물야)
기가 모여 있는 물건에 불과합니다.
雖有壽夭(수유수요)
비록 오래 살고, 일찍 죽는 차이가 있다지만
相去幾何(상거기하)
그 차이가 얼마나 크겠습니까?
須臾之說也(수유지설야)
짧은 시간에 불과할 뿐입니다.
奚足以爲堯桀之是非(해족이위요걸지시비)
그러니 어찌 요임금은 성인이고 걸왕은 폭군이란 시비가 문제가 되겠습니까?
果蓏有理(과라유리)
나무 열매나 풀의 열매도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人倫雖難(인륜수난)
사람들의 윤리는 다 추구하기는 어렵지만
所以相齒(소이상치)
역시 그 원리에 의해 서로 어울리고 있는 것입니다.
聖人遭之而不違(성인조지이불위)
따라서 성인은 그 원리에 의한 변화를 당하게 되면 어기지 않고,
過之而不守(과지이불수)
변화가 눈앞에 지나가도 그것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調而應之(조이응지)
거기에 조화함으로써 순응하는 것이
德也(덕야)
덕이며,
偶而應之(우이응지)
거기에 짝이 되어 순응하는 것이
道也(도야)
도인 것입니다.
帝之所興(제지소흥)
이 덕과 도에서 제왕이 생겨나고
王之所起也(왕지소기야)
왕도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人生天地之間(인생천지지간)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 살고 있는 것은
若白駒之過郤(약백구지과극)
마치 날쌘 말이 틈 앞을 지나가는 것처럼
忽然而已(홀연이이)
순간적인 일에 불과합니다.
注然勃然(주연발연)
무수히 왕성하게
莫不出焉(막불출언)
모두가 생겨나지 않은 것이 없고
油然漻然(유연류연)
소리도 없이
莫不入焉(막불입언)
모두가 사라지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已化而生(이화이생)
한 번 변화해서 나고
又化而死(우화이사)
또 한 번 변화해서 죽습니다.
生物哀之(생물애지)
그것을 생물들은 서러워하고
人類悲之(인류비지)
인간들은 슬퍼하고 있는 것입니다.
解其天弢(해기천도)
그 활을 넣는 주머니를 풀어
墮其天秩(타기천질)
옷을 넣는 주머니에 떨어 버리어
紛乎宛乎(분호완호)
다시는 아무 데도 얽매임이 없이
魂魄將往(혼백장왕)
혼백이 장차 떠나려 하면
乃身從之(내신종지)
몸뚱이는 그를 따를 것이니
乃大歸乎(내대귀호)
이것을 곧 대귀라 하는가
不形之形(불형지형)
형체도 없는 상태에서 형체가 이룩되고
形之不形(형지불형)
형체를 지닌 물건은 형체가 없는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是人之所同知也(시인지소동지야)
이것은 사람들이 다 같이 알고 있는 일이지만,
非將至之所務也(비장지지소무야)
지극한 도에 이르려는 사람은 그 구별에 대해 힘쓸 것이 못 됩니다.
此衆人之所同論也(차중인지소동론야)
이것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논하는 것이지만
彼至則不論(피지칙불론)
지극한 도에 이르려는 사람은 논하지 말아야 합니다.
論則不至(론칙부지)
거기에 대해 논하면 지극한 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明見無値(명견무치)
도란 분명히 보려고 하면 만나지 못하는 것이니,
辯不若黙(변불약묵)
이론을 펴는 것은 침묵을 지키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道不可聞(도불가문)
도란 들어서 알 수 있는 것이 못 되며,
聞不若塞(문불약색)
거기에 대해 듣는 것은 귀를 막고 듣지 않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此之謂大得(차지위대득)
이것을 크게 체득했다고 말합니다.”
'장자(莊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12. 도에 대한 이론은 진실한 도를 뜻할 수 없다. (0) | 2016.07.13 |
---|---|
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11. 도는 어디에나 있고 모든 현상은 도에 의한 것이다. (0) | 2016.07.13 |
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9. 도란 지식과 이론을 추월한 만물의 근원이다. (0) | 2016.07.13 |
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8. 지극한 도는 만물과 자연변화의 근본이다. (0) | 2016.07.12 |
莊子 外篇 22. 知北遊(지북유) 7. 도란 인식하여 지닐 수 없는 것이다. (0)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