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여행

[스크랩] 전남도에서 전통한옥 `표준설계도` 무료 보급 - 한옥 설계도(전남 한옥 표준 설계도)

강병현 2012. 9. 6. 03:30

전라남도 3개 유형 18종 보급…전기 설비도까지 수록
   
▲ 30평형 일반주택 규모의 전통한옥 표준설계도. 전라남도는 전통한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표준설계도를 제작, 배부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2005 전남도
전통의 멋을 살린 전통한옥의 표준 설계도면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전라남도가 전통한옥 건축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한옥 표준 설계도면을 제작, 도내 시·군과 읍·면·동 등에 배부하고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전라남도가 건축사협회와 함께 만든 이 설계도면은 모두 3개 유형에 18종으로 이뤄져 있다. 표준설계도면은 6평부터 55평형까지 방과 거실, 주방, 화장실, 창고, 대문와가, 초가와가 등을 조감도와 함께 세부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표준화된 자재공급용 시방서와 전기 설비도 등도 함께 수록, 별도의 설계가 필요 없어 그동안 한옥 건축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혔던 고비용 건축비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전통한옥은 효과적인 냉·난방과 함께 황토를 활용한 대표적인 웰빙 건축양식. 웰빙바람을 타고 주택에도 황토방과 같은 구들방 형태의 휴게공간이 인기를 끌고 있는 점에 비춰볼 때 이 표준 설계도면은 큰 인기를 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라남도는 한옥 표준 설계도면 제작을 계기로 전통한옥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앞으로 이를 한옥 민박사업 등과 연계, 관광자원으로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전라남도는 한옥을 이용한 민박사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민박 건축비 40억원을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한옥 민박을 신축할 경우 건평 25평 이상, 객실 2개 이상이어야 하며 최고 5000만원까지다.

▲ 25평형 일반주택의 표준설계도

출처 : http://hanok.jeonnam.go.kr/01kr/business/book/plan/
  • 한옥표준설계도서 유형별한옥

    • 유형별로 구분지어 보면 크게 일반형, 3세대형, 복층형으로 구분되어진다.
      먼저, 일반형은 64.4㎡~109.6㎡의 작은 규모의 한옥으로, 각각의 규모와 특징 구조에 따라 A-1형에서부터 C-2형 까지 구분되어 지고, 3세대형은 140㎡~155.7㎡ 의 중간 규모의 한옥으로 일반형과 마찬가지로 규모와 특징, 구조에 따라 A형, B형, C형,D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큰 규모를 자랑하는 2층 복층형은 연면적 136.1㎡~236.5㎡ 의 규모로 A형, B형, C형, D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 일반형
    • 3세대형
    • 2층 복층형

    A-1형(109.6㎡)

    • A-1형(109.6㎡)  한옥
    • 정면 5칸,측면2칸으로 만드는 ‘ㅡ’자형 팔작집으로 구조가 간편하고 부부침실과 자녀방이 분리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과 우측퇴에 툇마루,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실구성은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2, 수납공간 3, 방 3로 이루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A-2형(106.26㎡)

    • A-2형(106.26㎡)  한옥
    •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진 ‘ㅡ’자형 팔작집으로 A-1형이랑 비슷하나 거실이 A-1형보다 독립적이고, 현관 쪽에 화장실을 설치하고 방3은 부엌방으로 사용가능하다.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2, 수납공간 3, 방 3개로 이루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B-1형(89.3㎡)

    • B-1형(89.3㎡) 한옥
    • 정면 4칸 측면 2칸의 ‘ㅡ’ 자형 팔작집으로 작은 규모이나 방이 3개이고 전면에 방을 2개 배치하였다. 측면으로 출입하고 방3은 대청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1, 수납공간 1, 방3개로 이루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B-2형(87.1㎡)

    • B-2형(87.1㎡) 한옥
    • 정면 4칸 측면 2칸의 ‘ㅡ’자형 팔작집으로 넓은 거실과 주방/식당, 거실상부에 큰 보가 있다.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1, 수납공간 3,방 2개로 이루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C-3형(69.1㎡)

    • C-3형(69.1㎡) 한옥
    • 정면 3칸, 측면 2칸의 ‘ㅡ’자형 팔작집으로 작은 규모의 한옥으로 방 2개 배치하였고, 내부 공간 이용률을 높이기위해 툇마루 1간에만 설치 하였다.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1 수납공간 1, 방 2개로 구성되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C-2형(64.4㎡)

    • C-2형(64.4㎡) 한옥
    • 정면 3칸, 측면 3칸의 ‘ㅡ’자형 팔작집으로 중앙 1간에 별도의 주방/식당이 있으며, 노부부가 거주 하기에 적합하다. 거실 1, 주방/식당 1, 화장실 1, 수납공간 3, 방 1, 거실겸 방 1개로 이루어진다.
      • 조감도
      • 평면도
      • 정면도
      • 측면도
      • 배면도

출처 : http://hanok.jeonnam.go.kr/01kr/business/book/manual/

 

한옥표준설계도서 표준시공매뉴얼

  • 한옥시공을 위한 순서 및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진 매뉴얼로 부지준비에서부터 마감공사까지의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한 매뉴얼이다.
  1. 기초공사.
  2. 기둥을 세운다.
  3. 기둥위에 보아지를 끼워 넣는다.
  4. 기둥머리 사이를 주심장여로 연결한다.
  5. 보를 퇴보, 대들보, 측보 순으로 각각 조립한다.
  6. 주심장여위에 도리를 중첩하여 건물 몸체부의 가구를 완성한다.
  7. 고주와 대들보위에 동자주와 보아지를 조립한다.
  8. 고주와 동자주 사이에 중장여를 조립한다.
  9. 고주와 동자주 사이에 중보를 조립한다.
  10. 중장여위에 중도리를 중첩시킨다.
  11. 중보위에 판대공을 조립힌다.
  12. 판대공위에 종장여와 종도리를 조립한다.
  13. 네 귀에 추녀를 조립하여 지붕부의 가구를 완성한다.
  14. 장연, 평고대, 단연을 설치한다.
  15. 서가래 위를 개판으로 덮는다.
  16. 합각부를 조립한다.
  17. 기와공사를 한다.
  18. 수장공사
  19. 미장공사
//

1. 부지준비

부지공사 : 실제의 부지와 설계도서와의 정합을 확인하기 위해 측량을 하고 기준점과 규준틀을 설치한 후 부지 조성을 위해 측량한 부지안을 터고르기를 통해 장애물을 처리하고, 소정의 깊이까지 터파기를 한다. 터파기 후 도면에 표시된 경사, 단면 지반고에 맞춰 사면 및 바닥면을 고른 후 지형의 원상복구를 위한 되메우기를 하고, 필요 없는 잔토를 처리하여 집터를 닦는다. 집터가 닦이면 집이 들어설 자리, 향을 실제로 현장에서 확인하여 배치한다.

2. 기초공사

기초
그림)기초

건물이 들어설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높이를 포함한 ‘규준틀’을 설치하고, 상기둥 자리를 기준으로 실을 띄워 세로축과 가로축을 설정하는 기준실을 띄운 후, 기초를 파고 다진다. 기초를 다진 후 초석 하나하나의 상태를 확인하여 자리를 특정하여 초석을 놓는다.

3. 목공사(치목)

한옥의 부재에 따라 수종을 채택한 후 좋은 목재를 선별하여 선별된 목재를 톱으로 자르거나 대패로 깎아 조립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모든 공정을 치목이라 한다. 부재별 치목순서는 서까래부터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둥은 조립 바로 전에 치목하는 것이 좋다.

4. 목공사(조립)

조립 : 치목이 끝난 부재 하나하나를 짜 맞추어 건물의 골조를 세우는 일을 조립이라 하는데, 먼저 몸체부를 조립하고 지붕부를 나중에 조립한다.

  • 귀주, 고주, 평주
    1. 기둥을 세운다
  • 보아지
    2. 기둥위에 보아지를 끼워 넣는다
  • 주심장여
    3. 기둥머리 사이를 주심장여로 연결한다
  • 퇴보, 대들보, 측보
    4. 보를 퇴보·대들보·측보 순으로 각각 조립한다
  • 도리
    5. 주심장여위에 도리를 중첩하여 몸체부의 가구를 완성한다
  • 보아지, 동자주
    6. 고주와 대들보위에 동자주와 보아지를 조립한다
  • 중장여
    7. 고주와 동자주 사이에 중장여를 조립한다
  • 중장여
    8. 고주와 동자주 사이에 중보를 조립한다
  • 중도리
    9. 중장여위에 중도리를 중첩시킨다
  • 판대공
    10. 중보위에 판대공을 조립한다
  • 종도리
    11. 판대공위에 종장여와 종도리를 조립한다
  • 추녀
    12. 네 귀에 추녀를 조립하여 지붕부의 가구를 완성한다
  • 갈모산방
    13. 갈모산방을 추녀의 양편 주심도리상에 조립한다
  • 평고대
    14. 장연, 평고대, 단연을 설치한다
  • 개판
    15. 서가래 위를 개판으로 덮는다
  • 목기연
    16. 합각부를 조립한다

5. 기와 공사

기와공사가 끝난 한옥
그림)기와공사

기와의 종류와 크기를 결정하여 지붕면적을 계산하여 사용할 기와의 수량을 산출하고 기준실을 쳐서 기와나누기, 연함을 설치 하고, 적심깔기, 보토 및 강회다짐을 해서 바탕면을 만든다. 바탕면을 만든 후 기와잇기를 한다.

6. 수장공사

수장공사가 끝난 한옥
그림)수장부분

안방과 벽선, 문선을 드리는 일을 수장드리기라 하며, 인방.벽선.문선은 창.문.벽을 설치하기 위한 뼈대에 해당한다. 수장재는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 미리 치목하지 않으며, 인방을 설치하고, 벽선과 문선을 설치 한 후 머름 드리기 하는 순으로 행하여 진다.

7. 미장공사

미장공사가 끝난 한옥
그림)미장부분

미장공사란 주로 벽공사를 말하며,고막이, 당골막이, 합각벽치기가 포함 된다. 우선 벽치기는 외엮기 → 초벌바름 → 고름질 → 재벌바름 → 정벌바름 순으로 하고, 기단 윗면 바닥과 외벽 하방 사이에는 초석높이만큼 공간이 뜨는데 그 부분을 막는 고막이, 도리위 서까래간 사이의 틈을 메우는 당골벽, 팔작지붕의 옆면에 만들어지는 삼각형 벽면인 합각을 만드는 합각벽치기를 같이 행한다.

8. 온돌공사

온돌공사는 구들놓기와 굴뚝 쌓기로 나뉘어 지며, 구들놓기는 고래켜기→고막이,시근담 쌓기→불목구성→함실구성→개자리 설치→고래둑 쌓기→구들장 놓기→방바닥→연도연결로 이루어지고, 굴뚝 쌓기는 굴뚝을 쌓고 부뚜막을 설치한 후 불때기까지의 과정이다. 구들장 : 두께 60㎜ 내외의 얇고 넓게 쪼갠 점판암, 편마암 또는 화강암 등을 사용한 정방형의 형태의 구들장을 사용한다.

9. 창호공사

창호공사는 치목,조립,설치로 나뉘어 지며, 치목에는 살 치목, 울거미 치목, 문틀 치목, 문널 치목으로 이루어 지며, 치목된 것들을 각각의 구성품의 조립방법인 가로살과 세로살의 조립, 살과 울거미의 조립, 울거미와 울거미의 조립, 문틀조립을 이용하여 조립한 후 설치한다.

10. 마감공사

마감공사는 마루 공사,반자 공사,도배 공사,도장 공사,기단 공사로 이루어 지며, 각각의 공사에 따라 정해져 있는 공사 순서에 맞춰 시행한다.

 

출처 : 이원재의 누리그물 자유공간
글쓴이 : 나에게로의 끌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