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3.八佾編 13.오직 하늘에 기도하라.
王孫賈(왕손가) 問曰(문왈)
왕손가가 물었다.
與其媚於奧(여기미어오)론 寧媚於竈(영미어조)라하니 何謂也(하위야)잇고
" '아랫목 귀신에게 아첨하기보다는 차라리 부뚜막 귀신에게 아첨하는 것이 낫다'
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子曰(자왈) 不然(불연)하다 獲罪於天(획죄어천)이면 無所禱也(무소도야)니라
공자가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용서를 빌 곳이 없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3.八佾編 15.아는 것도 물어서 행하는 것이 예이다. (0) | 2012.10.24 |
---|---|
論語 3.八佾編 14.나는 주나라의 예를 따르겠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2.제사는 열성과 공경심을 가져야 한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1.체제(褅祭)의 의미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0.성의없는 제사는 무의미하다. (0) | 201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