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4.里仁編 7.허물을 보면 인(仁)을 알 수 있다.
子曰(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人之過也(인지과야) 各於其黨 (각어기당)이니
"사람의 허물은 각각 부류에 따라 다르니,
觀過(관과)에 斯知仁矣(사지인의)니라
허물을 보면 곧 인함을 알 수 있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4.里仁編 9.도에 뜻을 둔 선비 (0) | 2012.10.31 |
---|---|
論語 4.里仁編 8.아침에 도에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0) | 2012.10.31 |
論語 4.里仁編 6.하루라도 인(仁)에 힘 쓸 수 있겠는가. (0) | 2012.10.30 |
論語 4.里仁編 5.인(仁)을 잊지 않아야 군자다. (0) | 2012.10.30 |
論語 4.里仁編 4.인(仁)에 뜻을 두면 악함이 없다. (0) | 201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