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7.述而編 10. 공자의 나아감과 물러남
子謂顔淵曰(자위안연왈)
공자께서 안연에게 이르기를,
用之則行(용지칙행)하고
“우리를 등용하면 행하고
舍之則藏(사지칙장)을惟
버리고 등용하지 않으면 재주를 간직할 이는
我與爾有是夫(아여이유시부)인저
나와 너가 있을 뿐이다.”고 하셨다.
子路曰(자로왈)
자로가 말하시기를,
子行三軍(자행삼군)이면
“ 선생님께서 삼군을 다스린다면
則誰與(칙수여)시리잇고
누구와 함께 하겠습니까.”고 하니
子曰(자왈)
공자 말씀하시기를,
暴虎馮河(폭호풍하)하며
“범을 맨손으로 잡으며 하수를 걸어서 건너다가
死而無悔者(사이무회자)를
죽어도 뉘우침이 없는 자를
吾不與也(오불여야)니
같이 하지 않는다.
必也臨事而懼(필야림사이구)하며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워하고
好謀而成者也(호모이성자야)니라
계획을 세워서 이루기는 이를 좋아한다.”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7.述而編 12. 공자가 삼가 한 세 가지 일 (0) | 2014.01.29 |
---|---|
論語 7.述而編 11. 부(富)와 의(義) (0) | 2014.01.29 |
論語 7.述而編 9. 공자의 조문하는 태도 (0) | 2014.01.28 |
論語 7.述而編 8. 분발하지 않으면 가르치지 않는다. (0) | 2014.01.28 |
論語 7.述而編 7. 교육에는 차별이 없다. (0) | 201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