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공손추장구 상(公孫丑章句 上) 2. 浩然之氣(호연지기)
公孫丑問曰夫子加齊之卿相(공손축문왈부자가제지경상)하사
공손추가 물어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제나라의 경상의 직책을 맡으시어
得行道焉(득행도언)하시면
도를 행함을 얻게 되시면
雖由此霸王(수유차패왕)이라도
비록 이것으로 말미암아 패자나 왕자가 될지라도
不異矣(불이의)리니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으니
如此則動心(여차칙동심)이릿가
이와 같이 하면 마음을 움직이겠습니까?
否乎(부호)잇가
안 움직이겠습니까?
孟子曰否(맹자왈부)라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아니다
我(아)는
나는
四十(사십)에
40부터
不動心(부동심)호라
마음을 움직이지 아니하였느니라.
曰若是則夫子過孟賁(왈약시칙부자과맹분)이
공손추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선생님은 맹자보다도
遠矣(원의)로소이다
훨씬 지나칩니다.
曰是不難(왈시불난)하니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이것은 어렵지 아니하니
告子(고자)도
고자도
先我不動心(선아부동심)하니라
나보다 먼저 마음을 움직이지 아니 했느니라
曰不動心(왈부동심)이
공손추가 말하기를,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것에
有道乎(유도호)잇가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曰有(왈유)하니라
맹자가 말하기를, 있느니라.
北宮黝之養勇也(북궁유지양용야)는
북궁유라는 사람이 말하기를 용기를 기르는 데 있어서
不膚撓(불부요)하며
살을 찔러도 움찔하지 아니하며
不目逃(불목도)하여
눈을 찔러도 깜빡거리지 아니하며
思以一毫挫於人(사이일호좌어인)이어든
털끝만큼이라도 남에게 꺾이면
若撻之於市朝(약달지어시조)하여
저자나 조정에서 매 맞은 것같이 생각하니
不受於褐寬博(불수어갈관박)하며
헐렁헐렁한 솜털옷을 입는 사람에게도 모욕을 받지 아니하며
亦不受於萬乘之君(역불수어만승지군)하여
또한 만승의 임금으로부터도 멸시를 받지 아니하였다.
視刺萬乘之君(시척만승지군)하되
만승의 임금을 찔러 죽이는 것을
若刺褐夫(약척갈부)하여
허술한 털옷을 입은 사나이를 찔러 죽이는 것같이 생각해서
無嚴諸侯(무엄제후)하여
제후라도 무서울 것이 없었으며
惡聲至(악성지)어든
나쁜 소문이 들어오면
必反之(필반지)하니라
반드시 보복하였다.
孟施舍之所養勇也(맹시사지소양용야)는
맹시사가 용기를 기르는 바는
曰視不勝(왈시불승)하되
이기지 못할 것을 보기를
猶勝也(유승야)로니
이길 것같이 생각함이니
量敵而後進(량적이후진)하며
적군을 헤아려서 그런 뒤에 나아가면
慮勝而後會(려승이후회)하면
승리를 헤아려 뒤에 모이면
是(시)는
이것은
畏三軍者也(외삼군자야)니
삼군을 두려워하는 사람으로
舍豈能爲必勝哉(사기능위필승재)리요
어떻게 반드시 이기도록만 할 수 있겠는가.
能無懼而已矣(능무구이이의)라하니라
두려워함이 없을 뿐이 하나니
孟施舍(맹시사)는
맹시사는
似曾子(사증자)하고
증자와 비슷하고
北宮黝(북궁유)는
북궁유는
似子夏(사자하)하니
자하와 비슷하니
夫二子之勇(부이자지용)이
두 사람의 용맹이
未知其孰賢(미지기숙현)이어니와
누가 나은지 알 수 없지만
然而孟施舍(연이맹시사)는
그러나 맹시사는
守約也(수약야)니라
지키는 것이 요령이 있느니라
昔者(석자)에
옛날에
曾子謂子襄曰子好勇乎(증자위자양왈자호용호)아
증자가 자양에게 일러 말하기를,
吾嘗聞大勇於父子矣(오상문대용어부자의)로니
나는 용맹에 대해서 선생님에게서 들었는데
自反而不縮(자반이불축)이면
스스로 반성하여 바르지 못하면
雖褐寬博(수갈관박)이라도
헐렁헐렁한 털옷을 입은 사람이라도
吾不惴焉(오부췌언)이리오
내가 두려워하지 않겠는가만은
自反而縮(자반이축)이면
스스로 반성하여 바르기만 한다면
雖千萬人(수천만인)이라도
천만인이라 하더라도
吾往矣(오왕의)라하시니라
나는 다가가서 해낼 것이라 하였느니라
孟施舍之守(맹시사지수)는
맹시사의 지키는 것은
氣(기)라
기력이다
又不如曾子之守約也(우불여증자지수약야)니라
그것은 또 증자의 지키는 요약하는 것만 못하니라.
曰敢問夫子之不動心(왈감문부자지부동심)과
공손추가 말하기를, 감히 선생님께 묻겠습니다만
與告子之不動心(여고자지부동심)을
선생님의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내용을
可得聞與(가득문여)잇가
말씀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告子曰不得於言(고자왈불득어언)이어든
맹자가 대답하기를, 고자가 말하기를 말에서 얻지 못하더라도
勿求於心(물구어심)하며
마음에서 추구할지 말 것이며
不得於心(부득어심)이어든
마음에서 얻지 못하거든
勿求於氣(물구어기)라하니
기력에서 추구하지 말 것이라 하니
不得於心(부득어심)이어든
마음에서 얻지 못하거든
勿求於氣(물구어기)는
기력에서 추구하지 않는 것은
可(가)커니와
옳거니와
不得於言(부득어언)이어든
말에서 알지 못하거든
勿求於心(물구어심)은
마음에서 추구하지 않는 것은
不可(불가)하니
옳지 못하니라.
夫志(부지)는
왜내하면 뜻은
氣之帥也(기지수야)요
기력을 통솔하는 것이요
氣(기)는
기력은
體之充也(체지충야)니
몸에 충만한 것이니
夫志至焉(부지지언)이요
대저 뜻이 먼저 도달하고
氣次焉(기차언)이라
기력이 다음에 따라가며
故(고)로
그런 까닭으로
曰持其志(왈지기지)오도
말하기를, 그 뜻을 가지고도
無暴其氣(무포기기)라하니라
그 기력을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 하느니라
旣曰志一至焉(기왈지일지언)이요
공손추가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벌써 말씀하기를 뜻이 도달하고
氣次焉(기차언)이라하시고
기력이 다음에 간다고 하시고
又曰持其志(우왈지기지)오도
또 말씀하시기를, 그 생각을 가지고도
無暴其氣者(무폭기기자)는
그 기력을 함부로 부리지 말라고 하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무슨 말씀입니까?
曰志壹則動氣(왈지일칙동기)하고
맹자가 대답하기를, 생각이 전일하면 기력이 움직이게 되고
氣壹則動志也(기일칙동지야)니
또 기력이 전일하게 되면 뜻을 움직이게 되나니
今夫蹶者趨者(금부궐자추자)는
이제 저 엎어지고 달리는 것은
是氣也而反動其心(시기야이반동기심)이니라
기력이지만 도리어 그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니라.
敢問夫子(감문부자)는
감히 묻겠습니다만 선생님은
惡乎長(악호장)이시니잇고
어느 점에 뛰어나십니까?
曰我(왈아)는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나는
知言(지언)하며
말을 잘 이해하며
我(아)는
나는
善養吾浩然之氣(선양오호연지기하노라)
호연의 기상을 잘 기르는 것이다.
敢問何謂浩然之氣(감문하위호연지기)니잇고
공손추가 말하기를, 감히 묻겠습니다만 무엇을 호연의 기상이라고 합니까?
曰難言也(왈난언야)니라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말하기가 어렵느니라.
其爲氣也至大至剛(기위기야지대지강)하니
그 호연의 기상이라는 것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하니
以直養而無害(이직양이무해)면
곧은 것으로 길러서 해함이 없으면
則塞于天地之間(칙색우천지지간)이니라
하늘과 땅 사이에 충만하느니라.
其爲氣也配義與道(기위기야배의여도)하니
그 기상됨이 의와 도로 배합해서 되는 것이니
無是(무시)면
이것이 없으면
餒也(뇌야)니라
궁핍하게 되느니라
是集義所生者(시집의소생자)라
이것은 의를 모아서 생겨나는 것이요
非義襲而取之也(비의습이취지야)니
의가 엄습하여 가져오게 하는 것이 아니니
行有不慊於心(행유불겸어심)이면
행동하여서 마음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면
則餒矣(칙뇌의)라
궁핍하게 되느니라.
我故(아고)로
그런 까닭으로
曰告子未嘗知義(왈고자미상지의)라하노니
고자는 아직도 의를 알지 못한다 하는 것이니
以其外之也(이기외지야)일새니라
그것은 고자가 의를 밖에 있은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必有事焉而勿正(필유사언이물정)하여
반드시 일이 있다고 해서 결과를 예기하지 말며
心勿忘(심물망)하며
마음으로 잊어버리지 말며
勿助長也(물조장야)하여
그렇다고 해서 자라기를 도와주지도 말며,
無若宋人然(무약송인연)이어다
송나라 사람과 같이 하지 말 것이다.
宋人(송인)이
송나라 백성이
有閔其苗之不長而揠之者(유민기묘지불장이알지자)러니
자기 곡식이 자라지 않는 것을 민망히 여겨 잡아 뽑는 자가 있더니
芒芒然歸(망망연귀)하여
하루는 분주하게 돌아와서
謂其人曰今日(위기인왈금일에)
자기 집 가족들에게 일러 말하기를
病矣(병의)로라
오늘 고생했노라
予助苗長矣(여조묘장의)로라하여늘
내가 곡식이 자라도록 도와주었노라 하거늘
其子趨而往視之(기자추이왕시지)하니
그 아들이 달려가서 보니
苗則槁矣(묘칙고의)러라
곡식은 말라죽어있었다.
天下之不助苗長者寡矣(천하지불조묘장자과의)니
천하에서 곡식이 자라기를 돕지 않을 사람이 적으니
以爲無益而舍之者(이위무익이사지자)는
해도 소용이 없다고 해서 내버리는 사람은
不耘苗者也(불운묘자야)요
곡식을 김매지 않은 사람이요
助之長者(조지장자)는
이것을 자라도록 도와주는 사람은
揠苗者也(알묘자야)니
곡식을 뽑아 주는 사람이니
非徒無益(비도무익)이라
다만 이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而又害之(이우해지)니라
또 해가 되느니라.
何謂知言(하위지언)이니잇고
공손추가 또 묻기를 남의 말을 안다고 함은 무슨 말씀이십니까?
曰詖辭(왈피사)에
맹자가 대답하기를, 편파된 말에서
知其所蔽(지기소폐)하며
그 사람의 가려져 있는 바를 알며,
淫辭(음사)에
음란한 말에서
知其所陷(지기소함)하며
그 사람의 뼈가 있는 바를 알며,
邪辭(사사)에
사특한 말에서
知其所離(지기소이)하며
그 사람이 이간하는 바를 알며,
遁辭(둔사)에
도망가는 말에서
知其所窮(지기소궁)이니
그 사람이 궁함에 빠진 것을 아는 것이니
生於其心(생어기심)하여
그 마음에서 생겨 가지고
害於其政(해어기정)하며
정사를 해치며
發於其政(발어기정)하여
정사에 퍼져 나아가
害於其事(해어기사)하나니
그 일을 해치나니
聖人復起(성인복기)사도
성인이 다시 나타난다 하더라도
必從吾言矣(필종오언의)시리라
틀림없이 내 말을 따르실 것이다.
宰我子貢(재아자공)은
공손추가 말하기를, 재아, 자공은
善爲說辭(선위열사)하고
말을 잘 하고
冉牛閔子顔淵(염우민자안연)은
염우, 민자, 안연은 .
善言德行(선언덕행)이러니
덕행을 잘 말하였습니다.
孔子兼之(공자겸지)하시되
공자는 이것을 다 겸하였는데
曰我於辭命則不能也(왈아어사명칙불능야)로라하시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말에 있어서는 잘 못한다고 하셨으니
然則夫子(연칙부자)는
그렇다면 선생님은
旣聖矣乎(기성의호)신저
벌써 성인이십니다.
曰惡(왈악)라
맹자가 대답하기를, 아,
是何言也(시하언야)오
그게 무슨 말이냐
昔者(석자)에
옛날에
子貢問於孔子曰夫子(자공문어공자왈부자)는
자공이 공자께 묻기를, 선생님은
聖矣乎(성의호)신저
성인이십니다 하니
孔子曰聖則吾不能(공자왈성칙오불능)이어니와
공자는 성인 이라면 내가 감당하지 못하겠느냐
我(아)는
나는
學不厭而敎不倦也(학불염이교불권야)로라
배우기를 싫어하지 아니하고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아니하노라 하셨다.
子貢曰學不厭(자공왈학불염)은
자공이 말하기를,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는 것은
智也(지야)요
지혜요,
敎不倦(교불권)은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는 것은
仁也(인야)니
인한 것이니
仁且智(인차지)하시니
인하고 또 슬기로우니
夫子(부자)는
선생님은
旣聖矣(기성의)신저하니
벌서 성인이십니다 하셨다.
夫聖(부성)은
그런데 성인이라면
孔子(공자)도
공자도
不居(불거)하시니
자처하지 못하셨는데
是何言也(시하언야)오
그게 무슨 말이냐
昔者(석자)에
공손추가 말하기를, 제가 전일에
竊聞之(절문지)하니
몰래 들은 적이 있는데
子夏子游子張(자하자유자장)은
자하, 자유, 자장은
皆有聖人之一體(개유성인지일체)하고
모두 성인의 일면을 가졌으며
冉牛閔子顔淵(염우민자안연)은
염유와 민자와 안연은
則具體而微(즉구체이미)라하니
몸을 갖추었으나 미약하다 하셨습니다.
敢問所安(감문소안)하노이다
감히 선생님께서 자처하시는 바를 묻고 싶습니다.
曰姑舍是(왈고사시)하라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이제 그 얘기는 그만두어라
曰伯夷伊尹(왈백이이윤)은
또 묻기를, 백이와 이윤은
何如(하여)하니잇고
어떻습니까?
曰不同道(왈불동도)하니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길이 같지 아니하니
非其君不事(비기군불사)하며
자기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아니하며
非其民不使(비기민불사)하여
자기의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아니하여
治則進(치칙진)하고
세상이 평화로우면 나아가고
亂則退(난칙퇴)는
어지러우면 물러가는 것은
伯夷也(백이야)요
백이요
何事非君(하사비군)이며
누구를 섬긴들 임금이 아니며
何使非民(하사비민)이리오하여
누구를 부린들 백성이 아니겠느냐 하여
治亦進(치역진)하며
평화로워도 나아가고
亂亦進(난역진)은
어지러워도 또한 나아가는 것은
伊尹也(이윤야)요
이윤이오
可以仕則仕(가이사칙사)하며
벼슬할 만하면 벼슬하고
可以止則止(가이지칙지)하며
그만들 만하면 그만두며
可以久則久(가이구칙구)하며
오래 지체할 만하면 오랫동안 지체하고
可以速則速(가이속칙속)은
빨리 떠날 만하면 빨리 떠나는 것은
孔子也(공자야)시니
공자이니
皆古聖人也(개고성인야)라
모두 옛날의 성인이시니라
吾未能有行焉(오미능유행언)이어니와
내 아직도 실제로 행한 바는 없지만
乃所願則學孔子也(내소원칙학공자야)로라
원하는 바라면 공자를 배우는 것이다.
伯夷伊尹(백이이윤)이
또 묻기를 백이와 이윤이
於孔子(어공자)에
공자에 대해서
若是班乎(약시반호)잇가
이렇게까지 비등하다는 말씀이십니까
曰否(왈부)라
맹자가 대답하기를, 아니다,
自有生民以來(자유생민이래)로
생민이 있은 이래로
未有孔子也(미유공자야)시니라
아직도 공자만한 분이 없는 것이다.
曰然則有同與(왈연칙유동여)잇가
또 묻기를 그렇다면 공통된 점이 있습니까?
曰有(왈유)하니
대답해 말하기를, 있느니라
得百里之地而君之(득백리지지이군지)면
만일 100 리의 땅을 얻어서 임금 노릇을 하게 된다면
皆能以朝諸侯有天下(개능이조제후유천하)어니와
모든 제후들을 조공하게 하여 천하를 차지하게 되려니와
行一不義(행일불의)하며
한 가지라도 불의를 행하며
殺一不辜而得天下(살일불고이득천하)는
한 사람이라도 죄 없는 사람을 죽여서 천하를 얻게 된다는 것은
皆不爲也(개불위야)리니
모두 하지 않을 것이니
是則同(시칙동)하니라
이것은 공통되는 것이다.
曰敢問其所以異(왈감문기소이이)하노이다
또 묻기를 그러면 그 여러 사람들의 다른 점에 대하여 묻습니다.
曰宰我子貢有若(왈재아자공유약)은
맹자가 대답하기를, 재아와 자공와 유악은
智足以知聖人(지족이지성인)이니
지혜가 성인을 이해할 만하지만
汚不至阿其所好(오불지아기소호)니라
아무리 쳐져도 자기들의 좋아하는 바에 대해서
아첨하는 데는 이르지 않을 것이다.
宰我曰以予觀於夫子(재아왈이여관어부자)컨대
재아가 말하기를, 나로서 선생님을 관찰한다면
賢於堯舜(현어요순)이
요와 순보다도 현명하심이
遠矣(원의)로다
월등하십니다.
子貢曰見其禮而知其政(자공왈견기예이지기정)하며
자공이 말하기를, 그 예법을 보고 그의 정사를 알 만하며
聞其樂而知其德(문기악이지기덕)이니
그의 음악을 듣고 그 덕을 알 만한 것이니,
由百世之後(유백세지후)하여
백세의 뒤로부터
等百世之王(등백세지왕)컨대
백세 동안의 왕들과 비교 검토하여 본다면
莫之能違也(막지능위야)니
틀릴 수가 없는 것이니
自生民以來(자생민이래)로
생민이 생긴 이래로
未有夫子也(미유부자야)시니라
선생만한 분이 없나니라
有若曰豈惟民哉(유약왈기유민재)리오
유약이 말하기를 어떻게 인간에 대해서 뿐이겠는가?
麒麟之於走獸(기린지어주수)와
기린과 달리는 짐승과
鳳凰之於飛鳥(봉황지어비조)와
봉황과 나는 새와
泰山之於丘垤(태산지어구질)과
태산과 개미집과
河海之於行潦(하해지어행료)에
하해와 장마 빗줄기가
類也(류야)며
모두 동류이며
聖人之於民(성인지어민)에
성인과 백성도
亦類也(역류야)시니
또한 동류이기는 하나
出於其類(출어기류)하며
그 무리에서 뛰어나며
拔乎其萃(발호기췌)나
그 떨기에서 빠져나오는 것이니
自生民以來(자생민이래)로
생민이 있는 이래로
未有盛於孔子也(미유성어공자야)시니라
아직도 공자만한 이가 없느니라.
'맹자(孟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공손추장구 상(公孫丑章句 上) 4. 仁則榮(인즉영) (0) | 2014.06.04 |
---|---|
맹자(孟子) 공손추장구 상(公孫丑章句 上) 3. 以力假仁(이력가인) (0) | 2014.06.04 |
맹자(孟子) 공손추장구 상(公孫丑章句 上) 1. 管仲晏子(관중안자) (0) | 2014.06.04 |
맹자(孟子) 양혜왕장구 하(梁惠王章句 下) 16. 嬖人臧倉(폐인장창) (0) | 2014.06.04 |
맹자(孟子) 양혜왕장구 하(梁惠王章句 下) 15. 效死勿去(효사물거) (0) | 201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