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19. 曾子養曾晳(증자양증석)
孟子曰事孰爲大(맹자왈사숙위대)오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섬기는 것은 무엇이 중대한 것이 되는가?
事親(사친)이
어버이을 섬기는 것이
爲大(위대)하니라
중대한 것이 되느니라.
守孰爲大(수숙위대)오
지키는데는 무엇이 중대한 것이 되는가?
守身(수신)이
몸을 지키는 것이
爲大(위대)하니라
중대함이 되느니라.
不失其身而能事其親者(불실기신이능사기친자)를
자기 몸을 잃어버리지 않고 능히 그 어버이를 섬기는 자를
吾聞之矣(오문지의)요
나는 들었고
失其身而能事其親者(실기신이능사기친자)를
자기 몸을 잃어버리면서 능히 그 어버이를 섬긴다는 자를
吾未之聞也(오미지문야)로라
나는 듣지 못하였노라
孰不爲事(숙불위사)리오마는
무엇인들 섬기는 것이 아닐까마는
事親(사친)이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
事之本也(사지본야)요
섬기는 일의 근본이요
孰不爲守(숙불위수)리오마는
무엇인들 지키는 것이 되지 않을까마는
守身(수신)이
몸을 지키는 것이
守之本也(수지본야)니라
지키는 것의 근본이니라.
曾子養曾晳(증자양증석)하시되
증자가 증석을 봉양할 적에
必有酒肉(필유주육)이러시니
반드시 술과 고기를 마련하더니
將徹(장철)할새
밥상을 물리려 할 적에
必請所與(필청소여)하시며
반드시 줄 곳을 물어 보았다
問有餘(문유여)어든
남음이 있느냐고 물으면
必曰有(필왈유)라하시다
반드시 있다고 대답하였다
曾晳死(증석사)어늘
증석이 죽은 뒤
曾元養曾子(증원양증자)하되
증원이 증자를 봉양할 때에
必有酒肉(필유주육)하더니
반드시 술과 고기를 마련하더니
將徹(장철)할새
끝나고 밥상을 물리려 할 적에
不請所與(불청소여)하며
줄 곳을 물어 보지 않았다
問有餘(문유여)어시든
남음이 있는냐고 물으면
曰亡矣(왈망의)라하니
없다고 대답하니
將以復進也(장이복진야)라
장차 다시 한 번 올리려 함이니라.
此所謂養口體者也(차소위양구체자야)니
이것은 이른바 입가 몸을 봉양하는 것이니
若曾子(약증자)면
증자와 같이 한다면
則可謂養志也(칙가위양지야)니라
어버이의 뜻을 봉양하는 것이라고 말할 만하다..
事親(사친)을
어버이를 섬기는 것을
若曾子者可也(약증자자가야)니라
증자와 같이 하는 것이 옳으니라.
'맹자(孟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21. 不虞之譽(불우지예) (0) | 2014.07.23 |
---|---|
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20. 一正君而國定矣(일정군이국정의) (0) | 2014.07.23 |
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18. 古者易子而敎(고자역자이교) (0) | 2014.07.23 |
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17. 嫂溺援之以手(수익원지이수) (0) | 2014.07.23 |
맹자(孟子) 이루장구 상(離婁章句 上) 16. 慕儉(모검) (0) | 201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