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完]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14. 養小失大(양소실대)

강병현 2014. 8. 23. 19:50

맹자(孟子) 고자장구 상(告子章句 上) 14. 養小失大(양소실대)

 

孟子曰人之於身也(맹자왈인지어신야)에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사람은 자기 몸에 대해서는

兼所愛(겸소애)니

어느 것 없이 다같이 아낀다.

兼所愛(겸소애)면

어느 것 없이 다같이 아끼면

則兼所養也(칙겸소양야)라

어느 것 없이 다같이 기른다.

無尺寸之膚不愛焉(무척촌지부불애언)이면

한 자나 한 치 되는 살도 남김없이 아낀다면

則無尺寸之膚不養也(칙무척촌지부불양야)니

한 자나 한 치 되는 살도 남김없이 기른다.

所以考其善不善者(소이고기선불선자)는

기르기를 잘 하고 못하는 것을 생각하는 방법에

豈有他哉(기유타재)리오

어찌 다른 것이 있겠는가.

於己(어기)에

이것에 있어서는

取之而已矣(취지이이의)니라

자기 안에서 결정짓는 것일 따름이다.

體有貴賤(체유귀천)하며

한 몸에는 귀한 부분과 천한 부분이 있고

有小大(유소대)하니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이 있는데

無以小害大(무이소해대)하며

작은 부분 때문에 큰 부분을 해치는 일은 없고

無以賤害貴(무이천해귀)니

천한 부분 때문에 귀한 부분을 해치는 일은 없다.

養其小者爲小人(양기소자위소인)이요

작은 부분을 기른 사람은 소인이 되고

養其大者爲大人(양기대자위대인)이니라

큰 부분을 기르는 사람은 대인이 된다.

今有場師舍其梧檟(금유장사사기오가)하고

이제 한 원예사가 오동나무나 가래나물를 버리고서

養其樲棘(양기이극)하면

신대추 나무와 가시나무를 재배한다면

則爲賤場師焉(칙위천장사언)이니라

천한 원예사라 할 것이다.

養其一指(양기일지)하고

자기 손가락 하나를 고치면서

而失其肩背而不知也(이실기견배이불지야)면

어깨나 등에 있는 병은 놓쳐 버리고 모른다면

則爲狼疾人也(칙위랑질인야)니라

낭질에 걸린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飮食之人(음식지인)을

음식에 급급하는 사람은

則人賤之矣(칙인천지의)나니

남들이 천하게 여기는데

爲其養小以失大也(위기양소이실대야)니라

그것은 그가 작은 것을 기르고 큰 것을 잃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飮食之人(음식지인)이

음식에 급급하는 사람이

無有失也(무유실야)면

잃어버리는 것이 없다면

則口服(칙구복)이

입과 배가

豈適爲尺寸之膚哉(기적위척촌지부재)리오

어찌 단지 한 자나 한 치의 살의 정도 밖에 안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