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9.子罕編 6.다능(多能)은 성인이 되는 조건이 아니다.
太宰問於子貢曰夫子聖者與(태재문어자공왈부자성자여)아
태재가 공자에게 묻기를, “선생님께서는 성인이신가?
何其多能也(하기다능야)오
어찌 그렇게 능한 것이 많습니까.“고 하셨다.
子貢曰(자공왈)
자공이 대답하시기를, “
固天縱之將聖(고천종지장성)이시고
선생님께서는 진실로 하늘이 내리신 측량할 수 없는 성인이시라
又多能也(우다능야)시니라
또한 재능도 많을 것이다.“고 하였다.
子聞之(자문지)하시고
공자께서 들으시고
曰太宰知我乎(왈태재지아호)인저
말씀하시기를, “태재가 나를 아는구나,
吾少也賤(오소야천)이라
내가 젊었을 때에 지위가 천했다
故(고)로 多能鄙事(다능비사)하니
그래서 천한 일에 아주 능하였다.
君子(군자)는 多乎哉(다호재)아
군자는 재능이 많아야 되는가,
不多也(불다야)니라
많지 않아도 되느니라.“고 하셨다.
牢曰子云吾不試(뇌왈자운오불시)라
뇌가 말하기를,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세상에 쓰이지 못했다
故(고)로 藝(예)라하시니라
그래서 여러 가지 기예를 익혔다.’고 시신 적이 있었다.“고 했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9.子罕編 8.봉황도 오지 않고 (0) | 2014.10.15 |
---|---|
論語 9.子罕編 7.물음이 진실하면 남김없이 가르친다. (0) | 2014.10.15 |
論語 9.子罕編 5.광인(匡人)이 나를 어쩌랴 (0) | 2014.10.15 |
論語 9.子罕編 4.공자가 끊어 버린 네 가지 욕망 (0) | 2014.10.15 |
論語 9.子罕編 3.의리에 맞는 예절 (0) | 201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