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立敎編 12 가난한 집의 세 가지 낭비
武王曰家無十盜而不富者(무왕왈가무십도이부부자)는
무왕이 말하기를, "집에 십도가 없고 부유하지 못한 것은
何如(하여)닛고 하니
어찌 그럽니까?" 하니
太公曰人家(태공왈인가)에
태공이 말하기를, "그런 사람의 집에는
必有三耗(필유삼모)니다고 했다
반드시 삼모가 있을 것입니다."고 했다
武王曰何名三耗(무왕왈하명삼모)닛고 하니
무왕이 말하기를, "무엇을 삼모라고 말합니까?"하니
太公曰倉庫漏濫不蓋(태공왈창고누람부개)하여
태공이 말하기를, "창고가 뚫려 있는데도 가리지 않아
鼠雀亂食(서작난식)이
쥐와 새들이 어지러이 먹어대는 것이
爲一耗(위일모)요
첫째의 모요,
收種失時(수종실시)이
거두고 씨뿌림에 때를 놓치는 것이
爲二耗(위이모)요
둘째의 모요,
抛撒米穀穢賤(포살미곡예천)이
곡식을 퍼 흘리어 더럽고 천하게 다루는 것이
爲三耗(위삼모)니다
세째의 모입니다."고 하였다.
'明心寶鑑[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治政編 1 처음으로 벼슬을 얻은 사람이 (0) | 2014.10.18 |
---|---|
明心寶鑑 立敎編 13 가난은 스스로 부르는 것이다 (0) | 2014.10.17 |
明心寶鑑 立敎編 11 가난한 집의 열 가지 도둑 (0) | 2014.10.17 |
明心寶鑑 立敎編 10 범익겸 좌우명 (0) | 2014.10.17 |
明心寶鑑 立敎編 9 장사숙 좌우명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