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0.鄕黨編 8.공자의 식성(食性)
食不厭精(식불염정)하시며
밥은 정한 것은 싫어하지 않으셨으며,
膾不厭細(회불염세)러시다
회는 가는 것을 싫어하지 않으셨다.
食饐而餲(식의이애)와
밥이 상하여 쉰 것과
魚餒而肉敗(어뇌이육패)를
생선이 상하고 고기가 썩은 것을
不食(불식)하시며
먹지 아니하시고,
色惡不食(색악불식)하시며
빛이 변한 것을 먹지 아니하시었다.
臭惡不食(취악불식)하시며
냄새가 나쁜 것은 먹지 아니하시고,
失飪不食(실임불식)하시며
익지 아니한 것도 먹지 아니하시었고,
不時不食(불시불식)어러시다
때가 아니면 먹지 아니하셨다.
割不正(할불정)이어든
자른 것이 바르지 않으면
不食(불식)하시며
먹지 아니하고,
不得其醬(불득기장)이어든
간이 맞지 아니하면
不食(불식)하시다
먹지 아니하셨다.
肉雖多(육수다)나
고기를 비록 많이 자시더라도 .
不使勝食氣(불사승식기)며
곡기를 이기지 않게 하시며,
唯酒無量(유주무량)하시되
오직 술은 얼마든지 자시더라도
不及亂(불급란)이러시다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으셨다
沽酒市脯(고주시포)을
파는 술과 저자의 포를
不食(불식)하시며
먹지 않으셨다.
不撤薑食(불철강식)하시며
생강 자시는 것을 끊지 아니하시었다.
不多食(불다식)이러시다
밥은 많이 자시지 아니하셨다.
祭於公(제어공)에
나라에 제사지낼 때 받은 고기는
不宿肉(불숙육)하시며
밤을 재우지 않으시며,
祭肉(제육)은
제사지낸 고기는
不出三日(불출삼일)하더시니
삼일을 넘기지 아니하시고 .
出三日(출삼일)이면
삼일이 지나면
不食之矣(불식지의)니라
먹지 않으셨다.
食不語(식불어)하시며
자시면서 대답하지 않으시고,
寢不言(침불언)이러시다
주무시면서 말하지 않으셨다.
雖疏食菜羹(수소식채갱)이라도고
비록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도
祀必祭(과필제)하시되
반드시 곡신에게 드렸는데,
必齊如也(필제여야)러시다
반드시 공경히 하셨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10.鄕黨編 10.이웃 간의 예절 (0) | 2014.10.19 |
---|---|
論語 10.鄕黨編 9.공자의 앉는 예절 (0) | 2014.10.19 |
論語 10.鄕黨編 7.제(齊)지낼 때 공자의 몸가짐 (0) | 2014.10.18 |
論語 10.鄕黨編 7.제(齊)지낼 때 공자의 몸가짐 (0) | 2014.10.18 |
論語 10.鄕黨編 6.공자의 의복 제도 (0) | 201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