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3.子路編 15.국가의 흥망이 달린 한마디의 말
定公(정공)이 問(문)
정공이 묻기를,
“一言而可以興邦(일언이가이흥방)이라하니 有諸”(유제)잇가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하게 할 수 있는 그런 말이 있습니까”
孔子對曰(공자대왈)
공자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言不可以若是其幾也(언불가이약시기기야)어니와
“말을 가히 이와 같이 결과를 기약할 수 없거니와
人之言曰
사람의 말에 이르기를,
爲君難爲臣不易(인지언왈위군난위신불역)라하나니
‘임금노릇 하기도 어려우며 신하노릇 하기도 쉽지 아니하다.’고 하였으니
如知爲君之難也(여지위군지난야)인댄
만일 임금됨이 어려운 줄을 안다면
不幾乎一言而興邦乎?(불기호일언이흥방호)잇가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하게 하는 것을 기약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고 하셨다
曰 “一言而喪邦(왈일언이상방)이라하니
말하기를, “한 마디 말에 나라를 잃는다고 하니
有諸?“(유제)잇가
그런 일이 있습니까?”고 하니
孔子對曰
공자 대답하시기를,
“言不可以若是其幾也(공자대왈언불가이약시기기야)어니와
“말이란 그와 같이 결과를 기약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인지언왈여무락호위군)이요
그러나 사람들의 말에 ‘나는 임금노릇하는 데 즐거움이 없고,
唯其言而莫予違也(유기언이막여위야)라하나니
다만 내가 말을 하면 내 뜻을 어기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如其善而莫之違也(여기선이막지위야)이댄
만일 그 말이 선하여 그것을 어기지 않는다면
不亦善乎?(불역선호)잇가
또한 선하지 아니하겠습니까?
如不善而莫之違也(여불선이막지위야)인댄
만일 착하지 아니하고 어기지 아니한다면
不幾乎一言而喪邦乎?(불기호일언이상방호)잇가
한마디 말에 나라를 잃을 것을 기약하지 아니하겠습니까?”고 하셨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13.子路編 17.작은 이익을 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0) | 2016.02.29 |
---|---|
論語 13.子路編 16.정치의 근본은 인심을 얻는 것 (0) | 2016.02.29 |
論語 13.子路編 14.염유(冉有)를 훈계함 (0) | 2016.02.26 |
論語 13.子路編 13.내 몸이 바르면 정치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0) | 2016.02.26 |
論語 13.子路編 12.인군(仁君)이라도 30년이 걸려야 악인이 없어진다. (0) | 2016.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