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8. 자기를 내세우지 않아야 한다.
管仲有病(관중유병)
관중이 병이 나자
桓公問之曰(환공문지왈)
제나라 환공이 그를 문병하고 말했다.
仲父之病病矣(중부지병병의)
“중부의 병환이 위독하구나.
可不諱云(가불휘운) 至於大病(지어대병)
가히 피할 수가 없다고 하니 큰 병에 이르게 되면
則寡人惡乎屬國而可(칙과인악호속국이가)
누구에게 나라 일을 맡기는 것이 좋겠습니까?”
管仲曰(관중왈)
관중이 말했다.
公誰欲與(공수욕여)
“누구에게 맡기려 하고 계십니까?”
公曰(공왈)
환공이 말했다.
鮑叔牙(포숙아)
“포숙아에게 맡기려 합니다.
曰不可(왈불가)
관중이 말하기를, “안됩니다.
其爲人(기위인) 潔廉善士也(결렴선사야)
그의 사람됨은 결백하고 청렴하면서도 선하기만 한 선비입니다.
其於不己若者不比之(기어불기약자불비지)
그는 자기와 같지 않은 사람과는 친하게 지내지 않습니다.
又一聞人之過(우일문인지과)
또한 한번 남의 잘못을 알게 되면
終身不忘(종신불망)
평생토록 잊지 않습니다.
使之治國(사지치국) 上且鉤乎君(상차구호군)
그에게 나라를 다스리게 하시면 위로는 임금님께 반기를 들 것이고,
下且逆乎民(하차역호민)
아래로는 백성들의 뜻을 거스를 것입니다.
其得罪於君也(기득죄어군야) 將弗久矣(장불구의)
그는 임금님께 죄를 지음이 장차 멀지 않을 것입니다.”
公曰(공왈)
환공이 말했다.
然則孰可(연칙숙가)
“그렇다면 누가 좋겠습니까?”
對曰(대왈)
관중이 말했다.
勿已(물이) 則隰朋可(칙습붕가)
“부득이 나라 일을 맡기려 하신다면 습붕이 괜찮을 것입니다.
其爲人也(기위인야)
그의 사람됨은
上忘而下不畔(상망이하불반)
위로는 임금님의 존재는 잊고 아래로는 백성들이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愧不若黃帝而哀不己若者(괴불약황제이애불기약자)
그는 황제와 같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있고, 자기만 못한 사람들을 불쌍히 여깁니다.
以德分人謂之聖(이덕분인위지성)
자기의 덕을 남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성인이라 말하고,
以財分人謂之賢(이재분인위지현)
자기의 재물을 남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현인이라 말합니다.
以賢臨人(이현림인)
현명한 사람으로서 남위에 군림하여
未有得人者也(미유득인자야)
사람들의 마음을 산 사람은 없습니다.
以賢下人(이현하인)
현명한 사람으로서 남의 아래에 처신하여
未有得人者也(미유득인자야)
사람들의 마음을 사지 못한 사람은 없습니다.
其於國有不聞也(기어국유불문야)
그는 나라에 있어서는 모든 것을 들으려 하지 않고,
其於家有不見也(기어가유불견야)
집안에서는 모든 것을 보려고 하지 않습니다.
勿已(물이) 則隰朋可(칙습붕가)
꼭 맡겨야 한다면 습붕이 좋을 것입니다.”
'장자(莊子)[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10. 모든 마음을 버리고 나면. (0) | 2016.07.18 |
---|---|
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9. 재주만 믿고 잘난 체하다가는 해를 당한다. (0) | 2016.07.18 |
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7. 마땅히 상대가 있어야 한다. (0) | 2016.07.17 |
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6. 자가당착에 빠져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0) | 2016.07.17 |
莊子 雜篇 24. 서무귀(徐無鬼 ) 5. 사람들은 외물에 사로잡혀 본성을 잃고 있다. (0) | 2016.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