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三 致知 75. 글은 반드시 암송을 해야 한다.
書須成誦(서수성송)
글은 반드시 암송을 해야 한다.
精思多在夜中(정사다재야중)
생각을 정밀히 하는 것은 밤중에 많이 하고,
或靜坐得之(혹정좌득지)
혹은 조용히 앉아서 그 뜻을 얻어야 한다.
不記則思不起(불기즉사불기)
기억하지 못하면 생각이 나지 않는다.
但通貫得大原後(단통관득대원후)
단지 의리의 근본이 통한 뒤에라야,
書亦易記(서역역기)
글 또한 기억하기가 쉬운 것이다.
所以觀書者(소이관서자) 釋己之疑(석기지의)
책을 읽는 까닭은, 자기의 의심나는 것을 풀어 주고,
明己之未達(명기지미달)
자기가 통달하지 못한 것을 밝게 해주기 때문이다.
每見每知新益(매견매지신익)
매번 책을 볼 때마다 새로운 것을 더하여 알게 되면,
則學進矣(즉학진의)
곧 학문이 진전되는 것이다.
於不疑處有疑(어불의처유의)
의심이 없던 곳에서 의심이 생기면,
方是進矣(방시진의)
이것이 곧 진전인 것이다.
<장자전서(張子全書)>제6편(第六篇)·<강주어록(江註語錄)>
독서의 방법을 논한 것으로 글은 번드시 암송을 해야 하며, 암송하려면 그 글의 내용을 바르게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억할 수 있을 때까지 읽으라고 말한 것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三 致知 77. 이해한 구절은 서로 관련시켜 뜻을 밝혀라. (0) | 2016.09.08 |
---|---|
卷三 致知 76. 육경(六經)은 되풀이하여 읽어라. (0) | 2016.09.08 |
卷三 致知 74. 일시라도 책을 놓으면 덕성이 태만해 진다. (0) | 2016.09.07 |
卷三 致知 73. 다만 글의 뜻을 알고자 하면 어렵지 않다. (0) | 2016.09.07 |
卷三 致知 72. 시(詩)를 이해한 자는 오직 맹자뿐이다. (0) | 201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