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한비자韓非子]第四十篇難勢 : 권위로 움직인다

강병현 2020. 2. 26. 18:42

[한비자韓非子]第四十篇難勢 : 권위로 움직인다

 

韓非子 第40篇 難勢1]-

 

愼子曰(신자왈): 飛龍乘雲(비룡승운),

신자가 말했다. “하늘을 나는 용은 구름을 타고,

 

騰蛇遊霧(등사유무),

승천하는 뱀은 안개에 떠서 하늘을 난다.

 

雲罷霧霽(운파무제), 而龍蛇與螾螘同矣(이룡사여인개동의),

구름이 개이고 안개가 걷히면 용이나 뱀은 지렁이나 개미와 마찬가지가 된다.

 

則失其所乘也(즉실기소승야)

그들이 타고 다니던 것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賢人而詘於不肖者(현인이굴어불초자),

따라서 현자이면서도 우매한 자에게 굴복하는 것은

 

則權輕位卑也(즉권경위비야);

현자의 권세가 가볍고 지위가 낮기 때문이며,

 

不肖而能服於賢者(불초이능복어현자),

우매하면서도 현자를 굴복시킬 수 있는 것은

 

則權重位尊也(즉권중위존야)

우매한 자의 권세가 무겁고 지위가 높기 때문이다.

 

堯爲匹夫(요위필부), 不能治三人(불능치삼인);

만일 성인인 요가 보통사람이었다면 세 사람도 다스리지 못했을 것이며,

 

而桀爲天子(이걸위천자), 能亂天下(능란천하);

우매한 걸은 천자였기 때문에 천하를 혼란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吾以此知勢位之足恃而賢智之不足慕也(오이차지세위지족시이현지지부족모야)

그러므로 권세와 지위는 믿을 만한 것이며,

덕이나 지혜는 별로 쓸모가 없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夫弩弱而矢高者(부노약이실고자),

원래 큰 활의 힘은 대단한 것이 아니지만,

 

激於風也(격어풍야);

화살이 공중에 높이 나는 것은 바람에 힘입은 바 있기 때문이다.

 

身不肖而令行者(신불초이령행자),

그 사람됨이 우매한데 그 명령이 행해지고 있는 것은

 

得助於衆也(득조어중야)

민중의 협조를 받기 때문이다.

 

堯敎於隷屬而民不聽(요교어예속이민불청),

요가 사람한테 부림을 당하던 천한 신분이었을 때는 사람을 가르쳐도

아무도 요의 말을 들어주는 자가 없었지만,

 

至於南面而王天下(지어남면이왕천하), 令則行(영즉행), 禁則止(금즉지)

군주로 군림하면서부터는 그가 명령하면 실시되었고, 금지하면 멈추었다.

 

由此觀之(유차관지), 賢智未足以服衆(현지미족이복중),

따라서 덕이나 지혜는 그것으로 민중을 따르게 할 힘이 없지만

 

而勢位足以缶賢者也(이세위족이부현자야)

권세나 지위를 갖게 되면 그것으로 현자도 굴복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