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예부터 <하나>를 얻은 것들이 있다
天得一以淸(천득일이청)
하늘은 하나를 얻어 맑고
地得一以寧(지득일이녕)
땅은 하나를 얻어 편안하고
神得一以靈(신득일이령)
신은 하나를 얻어 영묘하고
谷得一以盈(곡득일이영)
골짜기는 하나를 얻어 가득하고
萬物得一以生(만물득일이생)
온갖 것 하나를 얻어 자라나고
侯王得一以爲天下貞(후왕득일이위천하정)
왕과 제후는 하나를 얻어 세상의 어른이 되고
其致之(기치지)
이 모두가 하나의 덕이다
天無以淸(천무이청)
하늘은 그것을 맑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裂(장공렬)
갈라질 것이고
地無以寧(지무이녕)
땅은 그것을 편안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發(장공발)
흔들릴 것이고
神無以靈(신무이령)
신은 그것을 영묘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歇(장공헐)
시들 것이고
谷無以盈(곡무이영)
골짜기는 그것을 가득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竭(장공갈)
마를 것이고
萬物無以生(만물무이생)
온갖 것 그것을 자라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滅(장공멸)
없어져 버릴 것이고
侯王無以貴高(후왕무이귀고)
왕과 제후는 그들을 어른되게 하는 것 없으면
將恐蹶(장공궐)
넘어질 것이다
故貴以賤爲本(고귀이천위본)
그러므로 귀한 것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하고
高以下爲基(고이하위기)
높은 것은 낮은 것을 바탕으로 한다
是以後王自謂孤(시이후왕자위고)
이런 까닭으로 왕과 제후는 스스로를 <고아 같은 사람>,
寡不穀(과불곡)
<짝잃은 사람>, <보잘 것없는 사람'이라 부른다
此非以賤爲本邪非乎(차비이천위본사비호)
이것이 바로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 아니겠는가
故致數輿無輿(고치수여무여)
지극히 영예로운 것은 영예로움이 아니다
不欲琭琭如玉(불욕록록여옥)
구슬처럼 영롱한 소리를 내려 하지 말고
珞珞如石(락락여석)
돌처럼 담담한 소리를 내시오
'道德經[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0) | 2012.05.18 |
---|---|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0) | 2012.05.18 |
무위자연의 도덕은 인위적인 도덕이 아니다 (노자 하편 제38장) (0) | 2012.05.18 |
욕심없이 고요하면 천하는 저절로 바르게 된다 (노자 상편 제37장) (0) | 2012.05.17 |
뺏으려면 먼저 주어라 (노자 상편 제36장) (0) | 201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