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만 믿고 설치는 자는 명대로 살지 못한다
(노자 하편 제42장)
道生一(도생일)
도가 <하나>를 낳고
一生二(일생이)
<하나>가 <둘>을 낳고
二生三(이생삼)
<둘>이 <셋>을 낳고
三生萬物(삼생만물)
<셋>이 만물을 낳는다
萬物負陰而抱陽(만물부음이포양)
만물은 <음>을 등에 업고 <양>을 가슴에 안았다
沖氣以爲和(충기이위화)
<기>가 서로 합하여 조화를 이룬다
人之所惡(인지소악)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은
唯孤寡不穀(유고과불곡)
<고아 같은 사람>, <짝잃은 사람>, <보잘 것 없는 사람>이지만
而王公以爲稱(이왕공이위칭)
이것은 임금이나 공작이 자기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故物或損之而益(고물혹손지이익)
그러므로 잃음으로 얻기도 하고
或益之而損(혹익지이손)
얻음으로 잃는 일도 있다
人之所敎(인지소교)
사람들이 가르치는 것
我亦敎之(아역교지)
나도 가르친다.
强梁者不得其死(강량자불득기사)
강포한 자 제명에 죽지 못한다고 한다.
吾將以爲敎父(오장이위교부)
나도 이것을 나의 가르침의 으뜸으로 삼으려 한다.
'道德經[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때를 알아 그치면 위태롭지 않다 (노자 하편 제44장) (0) | 2012.05.20 |
---|---|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노자 하편 제43장) (0) | 2012.05.20 |
큰그릇은 더디 이루어진다 (노자 하편 제41장) (0) | 2012.05.18 |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노자 하편 제40장) (0) | 2012.05.18 |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본으로 삼는다 (노자 하편 제39장) (0)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