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三略 상략上略[32]
예절로서 상을 준다
軍讖曰 (군참왈)
군참에 이런 말이 있다.
「香餌之下, (향이지하) 善餌之下(선이지하)
「향기롭고 달콤한 미끼로 고기를 낚을 때에는
必有死魚; (필유사어) 必有懸魚; (필유현어)
고기는 반드시 바늘에 걸려 죽게 된다.
重賞之下, (중상지하)
후하게 상을 주어 사졸을 고무할 때에는
必有勇夫. (필유용부)
반드시 상을 받으려 용감하게 싸우는 장수들이 있기 마련이다.」
故禮者, (고예자)
그러므로 두터운 예절로써 맞이할 때에는
士之所歸;(사지소귀)
어진 선비들을 얻게 되고
賞者, 士之所死. (상자 사지소사)
후하게 상을 내릴 때는 용사들은 목숨을 걸고 싸우게 된다.
招其所歸, (초기소귀)
만약 어진 선비가 돌아오는 것을 예절로써 맞이하고,
示其所死, (시기소사)
용사들이 죽음을 무릅쓰는 것을 상으로써 이를 표시할 때에는
則所求者至. (즉소구자지)
내가 구하는 어진 선비와 용사가 모두 오게 되는 것이다.
故禮而後悔者, 士不止;(고예자이후회자 사부지)
그러므로 처음에 예절로써 맞이하다가
나중에 이를 후회하는 장수 밑에는 어진 선비가 오래 머물러 있지 않는다.
賞而後悔者, 士不使. (상이후회자 사불사)
처음에는 상을 내렸다가 나중에 이를 후회하는 장수는 용사를 사용할 수가 없다.
禮賞不倦, (예상불권)
후한 예절로써 대우하고 후한 상을 내려 그것을 게을리 하지 않으면
則士爭死.」(즉사쟁사)
어진 선비나 용사들은 앞을 다투어 죽음을 무릅쓰게 된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략三略 상략上略[34] 먼저 적을 살펴라 (0) | 2012.05.24 |
---|---|
삼략三略 상략上略[33] 은혜를 베풀고 백성을 사랑하라 (0) | 2012.05.24 |
삼략三略 상략上略[31] 재물이 없으면 떠난다 (0) | 2012.05.23 |
삼략三略 상략上略[30] 때로는 노하라 (0) | 2012.05.23 |
삼략三略 상략上略[29] 함부로 화내지 마라 (0) | 201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