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2.爲政編 18.벼슬과 몸가짐
子張(자장)이學干祿.(학간록)한데 子曰, (자왈)
자장이 녹(祿:벼슬)을 구하기를 묻자 공자가 대답하였다.
“多聞闕疑, (다문궐의)오
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고
愼言其餘,(신언기여) 則寡尤,(즉과우)며
나머지를 신중히 말하면 허물이 적을 것이다.
多見闕殆, (다견궐태)오
많은 것을 보되 확고하지 못한 것을 빼놓고
愼行其餘,(신행기여) 則寡悔.(즉과회)니
나머지만을 실천하면 뉘우침이 적을 것이다.
言寡尤,(언과우)하며 行寡悔, (행과회)면
말에 허물이 적고, 행동에 뉘우칠 바가 적으면
祿在其中矣.”(녹재기중위)니라
녹(벼슬)은 스스로 있게 마련이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2.爲政編 20.윗사람이 선량하면 아랫사람도 선량해진다. (0) | 2012.10.03 |
---|---|
論語 2.爲政編 19.백성이 복종하고 불복종하는 이유 (0) | 2012.09.28 |
論語 2.爲政編 17.참으로 아는 것 (0) | 2012.09.28 |
論語 2.爲政編 16.이단을 삼가라. (0) | 2012.09.28 |
論語 2.爲政編 15.배움과 사색 (0) | 201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