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Coleman - a life of love
論語 3.八佾編 17.허례(虛禮)도 없는 것 보다는 낫다.
子貢(자공)이 欲去告朔之羊(욕거고삭지희양)한 대
자공이 매월 초하루에 희생양을 종묘에 바치는 고삭 의식을 폐지하려고 하였다.
子曰(자왈)
공자가 말씀하셨다.
賜也(사야)아 爾愛其羊(이애기양)가 我愛其禮(아애기예)하노라
"사(賜)야! 너는 그 양을 아끼는가. 나는 그 예를 아낀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3.八佾編 19.임금이 예의가 있으면 신하가 충성한다. (0) | 2012.10.25 |
---|---|
論語 3.八佾編 18.예를 다하는 것은 아첨이 아니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6.폭력보다는 예를 지켜라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5.아는 것도 물어서 행하는 것이 예이다. (0) | 2012.10.24 |
論語 3.八佾編 14.나는 주나라의 예를 따르겠다. (0) | 201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