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戒性編 6 참지 못하면 사람이 아니다
子張曰不忍則如何(자장왈부인칙여하)닛고
자장이 묻기를 "참지 않으면 어떻게 됩니까?"하니
子曰天子不忍(자왈천자부인)이면
공자가 말하기를, "천자가 참지 않으면
國空虛(국공허)하고
나라가 공허하게 되고,
諸侯不忍(제후부인)이면
제후가 참지 않으면
喪其軀(상기구)하고
그 몸을 잃어 버리고
官吏不忍(관리부인)이면
벼슬아치가 참지 않으면
刑法誅(형법주)하고
형법에 의하여 죽게 되고
兄弟不忍(형제부인)이면
형제가 참지 않으면
各分居(각분거)하고
각각 헤어져서 따로 살게 되고,
夫妻不忍(부처부인)이면
부부가 참지 않으면
令子孤(영자고)하고
자식을 외롭게 하고,
朋友不忍(붕우부인)이면
친구 끼리 참지 않으면
情意疎(정의소)하고
정과 뜻이 서로 갈리고,
自身(자신)이
자신이
不忍(부인)이면
참지 않으면
患不除(환불제)니라
근심이 덜어지지 않느니라." 고 하셨다.
子張曰善哉善哉(자장왈선재선재)라
자장이 말하기를, "참으로 좋고도 좋으신 말씀이로다.
難忍難忍(난인난인)이여
참는 것은 어렵고 어렵도다.
非人不忍(비인부인)이요
사람이 아니면 참지 못할 것이요,
不忍非人(부인비인)이로다
참지 못할 것 같으면 사람이 아니로다."고 하였다.
'明心寶鑑[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戒性編 8 악한 자의 꾸짖음엔 대꾸도 마라 (0) | 2014.08.27 |
---|---|
明心寶鑑 戒性編 7 굽힐 줄 알아야 중히 쓰인다. (0) | 2014.08.27 |
明心寶鑑 戒性編 5 참는 것이 최선이다 (0) | 2014.08.27 |
明心寶鑑 戒性編 4 시비란 모두가 헛것이다 (0) | 2014.08.27 |
明心寶鑑 戒性編 3 참고 경계하라 (0) | 201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