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0.鄕黨編 4.조정에 있어서 공자의 진퇴
入公門(입공문)하실새
궁문에 들어가실 때에는
鞠躬如也(국궁여야)하사
몸을 구부리시어
如不容(여불용)이러시다
용납지 못할 것같이 하시었다.
立不中門(입불중문)하시며
서실 때에는 문 가운데 서지 아니하시고,
行不履閾(행불리역)이러시다
행하실 적에는 문지방을 밟지 아니하셨다.
過位(과위)하실새
자리를 지나실 적에는
色勃如也(색발여야)하시며
안색을 긴장하시고
足躩如也(족곽여야)하시며
걸음도 조심하시며, .
其言(기언)이
그 말씀은
似不足者(사불족자)러시다
족하지 못한 것같이 하시었다.
攝齊升堂(섭제승당)하실새
옷자락을 거머잡고 당에 오르실 때,
鞠躬如也(국궁여야)하시며
몸을 구부리시며
屛氣(병기)하사
기운을 감추시어
似不息者(사불식자)러시다
숨도 쉬지 않는 것같이 하셨다.
出降一等(출강일등)하사는
나오시어 섬돌 한 층계를 내려서는
逞顔色(영안색)하사
얼굴빛을 푸시고
怡怡如也(이이여야)하시며
온화하고 기뻐하시며,
沒階(몰계)하사는
층계를 다 내려서서는
趨進翼如也(추진익여야)하시며
빨리 나아가시되 날개를 편 듯하시며,
復其位(복기위)하사는
그 자리에 돌아와서는
踧踖如也(축적여야)러시다
황송해 하셨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10.鄕黨編 6.공자의 의복 제도 (0) | 2014.10.18 |
---|---|
論語 10.鄕黨編 5.외교관으로서 공자의 몸가짐 (0) | 2014.10.18 |
論語 10.鄕黨編 3.국빈을 맞이하는 공자의 예의범절 (0) | 2014.10.18 |
論語 10.鄕黨編 2.조정에 있을 때 공자의 언어 (0) | 2014.10.18 |
論語 10.鄕黨編 1.공사(公私)생활에 있어서의 공자의 언어 (0) | 201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