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五 克己 9. 부정(不正)한 절제(節制)
節之九二(절지구이) 不正之節也(부정지절야)
절괘의 구2효(九二爻)는, 부정(不正)한 절제(節制)이다.
以剛中正爲節(이강중정위절) 如懲忿窒欲(여징분질욕)
강(剛)은 중정(中正)으로써 절도를 삼지만, 분함을 참고 욕심을 막으며,
損過抑有餘是也(손과억유여시야)
지나친 것을 덜고 남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不正之節(부정지절) 如嗇節於用(여색절어용)
부정한 절제는, 인색한 사람이 비용을 절약하는 것과 같고,
懦節於行是也(나절어행시야)
나약한 자가 행동을 절제하는 것이 바로 이것인 것이다.
<이천역전(伊川易傳)> 절괘편(節卦篇)
<주역>의 절괘를 풀이한 것이다. 절제를 갖는 것 에도 중용을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무리하게 원칙만 고집하지 말고 지나친 인색을 경계할 수 있다면 발전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五 克己 11. 의리(義理)와 객기(客氣) (0) | 2016.10.01 |
---|---|
卷五 克己 10. 그것이 인(仁)인지는 알 수가 없다 (0) | 2016.09.29 |
卷五 克己 8. 기쁠 때 그치는 것은 절도의 뜻이다 (0) | 2016.09.29 |
卷五 克己 7. 중정(中正)의 도(道)는 바른 마음에서 나온다. (0) | 2016.09.29 |
卷五 克己 6. 욕심 때문에 폐단에 빠진다.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