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五 克己 40. 시점(視點)을 허리띠 중앙에 두라
君子不必避他人之言(군자불필피타인지언)
군자는 타인의 비평을 반드시 피하지 않으며,
以爲太柔太弱(이위태유태약)
이로써 지나치게 유약해지지 않는다.
至於瞻視(지어첨시) 亦有節(역유절)
쳐다보는 일에 이르기 까지, 또한 절도가 있는 것이니,
視有上下(시유상하)
상대를 볼 때 시점(視點)의 위와 아래가 있다.
視高則氣高(시고즉기고) 視下則心柔(시하즉심유)
보는 시점이 높으면 거만해 지고, 보는 시점이 낮으면 마음이 유화해 진다.
故視國君者(고시국군자)
그러므로 임금을 보는 자는,
不離紳帶之中(불리신대지중)
그 시점을 허리띠 중앙에서 떠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學者先須去其客氣(학자선수거기객기)
배우는 자는 먼저 그 객기(客氣)를 버려야 한다.
其爲人剛行(기위인강행) 終不肯進(종불긍진)
사람이 지나치게 굳센 행동을 하면, 마침내 진보가 없게 되는 것이다.
堂堂乎張也(당당호장야) 難與並爲仁矣(난여병위인의)
자장(子張)은 지나치게 당당하여, 더불어 인(仁)을 행하기가 어렵다.
盖目者人之所常用(개목자인지소상용)
대개 눈이라는 것은 사람이 항상 쓰는 것이며,
且心常託之(차심상탁지)
또한 마음이 항상 의탁하는 곳이다.
視之上下(시지상하) 且試之(차시지) 己之敬傲(기지경오)
시점의 상하를, 시험해 보면, 자신이 공경하고 오만한 것은,
必見於視(필견어시)
반드시 쳐다보는 곳에 나타내는 것이다.
所以欲下其視者(소이욕하기시자) 欲柔其心也(욕유기심야)
그 시점을 아래로 내리고자 하는 자는, 그 마음이 유화하게 될 때,
柔其心則聽言(유기심즉청언) 敬且信(경차신)
듣고 말하는 것이, 공경스럽고 또한 믿을 수 있는 것이다.
人之有朋友(인지유붕우) 不爲燕安(불위연안)
사람들에게 벗이 있는 것은, 편안히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所以補佐其仁(소이보좌기인)
인(仁)을 행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今之朋友(금지붕우) 擇其善柔(택기선유) 以相與(이상여)
지금의 친구들이란, 아첨을 잘하는 자를 택하여, 서로가 더불어 사귀고,
拍肩執袂(박견집몌)
어깨를 두드리며 소매를 붙잡고서는,
以爲氣合(이위기합)
이로써 기(氣)가 합하였다고 하다가도,
一言不合(일언불합) 怒氣相加(노기상가)
말 한 마디만 맞지 않아도, 노기를 띤 말을 서로 한다.
朋友之際(붕우지제) 欲其相下不倦(욕기상하불권)
친구왕의 교제는, 서로가 낮추어 싫증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故於朋友之間(고어붕우지간) 主其敬者(주기경자)
그러므로 친구간에, 공경을 주로 하는 자는,
日相親與(일상친여) 得效最速(득효최속)
날로 친밀해져서 인(仁)을 행하는 데, 가장 빠르게 효과를 얻는 것이다.
仲尼嘗曰(중니상왈)
공자가 일찍이 말하기를,
吾見其居於位也(오견기거어위야)
‘나는 그 아이가 연장자의 자리에 앉거나,
與先生並行也(여선생병행야)
선생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걷는 것을 보았다.
非求益者(비구익자)
그 아이는 유익한 것을 구하는 것이 아니고,
欲速成者(욕속성자)
속히 성인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則學者先須溫柔(즉학자선수온유)
배우는 자는 우선 온유하게 해야 한다.
溫柔則可以進學(온유즉가이진학)
온유하면 학문이 진보될 수 있는 것이다.
詩曰(시왈)
<시경(詩經)>에 말하기를,
溫溫恭人(온온공인) 惟德之基(유덕지기)
‘따스하고 공손한 사람은, 오직 덕(德)의 기본이 된다.’고 하였다.
盖其所益之多(개기소익지다)
대개 큰 덕을 이루어 갈 유익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횡거어록(橫渠語錄)>
당당(堂堂)이란 위엄이 있고 훌륭한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논어> 자장편(子張篇)에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당당하다. 자장이여! 그러나 함께 인(仁)을 실천하기는 어렵구나!"라고 하였다. 자장은 학문과 언변이 뛰어나고 위풍이 당당하였으나 인자함이 결여되었기에 한 말이다. 사람은 보는 시점에 따라서 공손하고 오만한 태도가 나타나는 것이다. 온화하고 부드러운 태도로써, 친구를 사귀고 또한 어른을 모셔야 한다고 하였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六 家道 1. 학문보다 직책을 먼저 수행하라 (0) | 2016.10.06 |
---|---|
卷五 克己 41. 어릴 때부터 쇄소응대를 가르쳐라 (0) | 2016.10.05 |
卷五 克己 39. 배우는 자는 욕심을 적게 하라 (0) | 2016.10.05 |
卷五 克己 38. 경솔한 것을 고치고 게으른 것을 경계하라 (0) | 2016.10.05 |
卷五 克己 37. 친구로부터 얻는 유익함 (0) | 201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