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左上) : 실정에 맞지 않는 말은 막아라.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7]-
范且(범차) · 虞慶之言,(우경지언)
범차나 우경의 논리는,
皆文辯辭勝而反事之情。(개문변사승이반사지정)
말재간이 좋고 훌륭하지만 실정에 맞지 않는데도,
人主說而不禁,(인주설이부금)
군주는 그런 의논을 좋아하며 금하지 않는다.
此所以敗也。(차소이패야)
그것이 실패의 원인이 된다.
夫不謀治强之功,(부부모치강지공)
대체로 나라를 다스리고, 군사를 강화하지 않고
而艶乎辯說文麗之聲,(이염호변설문려지성)
시원스러운 웅변이나 화려하고 그럴듯한 표현만을 좋아하고,
是卻有術之士而任(시각유술지사이임)
정치를 터득한 현명한 인사를 배척한다는 것은
" 壞屋(괴옥) " · " 折弓(절궁) " 也。(야)
집을 부수고 활을 부러뜨리는 웅변가에게 나라를 맡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故人主之於國事也,(고인주지어국사야)
따라서 군주는 국정에 있어서,
皆不達乎工匠之搆屋張弓也。(개부달호공장지구옥장궁야)
목수나 활을 만드는 사람과 같은 기술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然而士窮乎范且 (연이사궁호범차)· 虞慶者,(우경자)
그리고 정치를 터득한 인사가 범차나 우경과 같은 사람에게 꼼짝 못하는 것은,
爲虛辭,(위허사) 其無用而勝;(기무용이승)
허황한 말이 쓸모가 없는데도 승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며,
實事,(실사) 其無易而窮也。(기무역이궁야)
실질적인 것이 그 앞에서 오금을 펴지 못하는 까닭이다.
人主多無用之辯,(인주다무용지변)
군주가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웅변을 찬양하고,
而少無易之言,(이소무역지언) 此所以亂也。(차소이난야)
정확한 언론을 배척하게 되면 국정이 문란해진다.
今世之爲范且(금세지위범차) · 虞慶者不輟,(우경자부철)
그런데 요즘 우경이나 범차와 같은 인물이 계속 나타나며,
而人主說之不止,(이인주설지부지)
더욱이 군주가 그런 자들을 받아들이는 실정이다.
是貴(시귀) " 敗(패) " · " 折(절) "
이것은 집을 무너뜨리고 활을 부러뜨리는 웅변을 소중히 여기고,
之類而以知術之人爲工匠也。(지류이이지술지인위공장야)
정치를 터득한 현명한 인사를 목수나 활을 만드는 사람 같이 다루게 할 것이다.
不得施其技巧,(부득시기기교)
목수나 활을 만드는 사람이 기술을 실천할 수 없게 되므로
故屋壞弓折,(고옥괴궁절)
집은 파괴되고 활은 부러지는 것이다.
知治之人不得行其方術,(지치지인부득항기방술)
이와 같이 정치를 터득한 자가 전문적인 방법을 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故國亂而主危。(고국난이주위)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군주는 위태로워지는 것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지난 것은 현실이 아니다 (0) | 2020.02.04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소꿉장난으로는 배부를 수 없다 (0) | 2020.0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전문가의 말을 들어라 (0) | 2020.0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구멍 뚫을 수 없는 표주박은 쓸모가 없다 (0) | 2020.02.02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귀신을 그리는 것이 쉽다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