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소꿉장난으로는 배부를 수 없다
-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8]-
夫嬰兒相與戲也,(부영아상여희야) 以塵爲飯,(이진위반)
어린아이들이 모여서 놀 때에는 흙을 밥으로 하고
以塗爲羹,(이도위갱) 以木爲胾, (이목위자)
구정물을 국물로 하며, 나뭇조각을 고기로 한다.
然至日晩必歸饟者,(연지일만필귀양자)
그러나 날이 저물면 집에 돌아가서 식사를 하는 것은
塵飯塗羹可以戲而不可食也。(진반도갱가이희이부가식야)
흙이나 구정물이나 나뭇조각은 소꿉장난일 뿐 식사 대신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夫稱上古之傳頌,(부칭상고지전송) 辯而不慤,(변이부각)
또 상고적부터 전해 온 것을 찬양한다고 해서 성실하다고 할 수 없으며,
道先王仁義而不能正國者,(도선왕인의이부능정국자)
또 선왕의 업적을 아무리 찬양한다 할지라도 국정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此亦可以戲而不可以爲治也。(차역가이희이부가이위치야)
그것은 소꿉장난은 될지 몰라도 실제로 정치를 잘하는 사람은 못되는 것이다.
夫慕仁義而弱亂者,(부모인의이약난자)
생각건대 인의를 숭상하여 나라가 약화되고 혼란에 빠진 것은
三晉也;(삼진야)
한나라와 위나라와 초나라였는데,
不慕而治强者,(부모이치강자) 秦也,(진야)
인의를 소중히 여기지도 않고 나라가 부강해진 것은 진나라였다.
然而未帝者,(연이미제자)
그러나 그러한 진나라가 아직도 황제국이 되지 못한 것은
治未畢也。(치미필야)
정치술이 능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일한다. (0) | 2020.02.04 |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지난 것은 현실이 아니다 (0) | 2020.0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五篇 外儲說(左上) : 실정에 맞지 않는 말은 막아라. (0) | 2020.0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전문가의 말을 들어라 (0) | 2020.02.04 |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구멍 뚫을 수 없는 표주박은 쓸모가 없다 (0) |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