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구멍 뚫을 수 없는 표주박은 쓸모가 없다

강병현 2020. 2. 2. 20:08

[한비자韓非子]第三十二篇 外儲說(左上) : 구멍 뚫을 수 없는 표주박은 쓸모가 없다

 

韓非子 第32篇 外儲說(左上)205]-

 

齊有居士田仲者,(제유거사전중자)

제나라에 전중이라는 은자가 있었다.

 

宋人屈穀見之, (송인굴곡견지)

송나라 사람인 굴곡이 그를 만나서 말하였다.

 

:() " 穀聞先生之義,(곡문선생지의)

제가 알기로 선생께서는

 

不恃人而食(부시인이식)

남의 은혜로는 먹고살지 않는다고 주장 하신다 들었습니다.

 

今穀有樹瓠之道,(금곡유수호지도)

그런데 저에게는 표주박을 기르는 특별한 방법이 있습니다.

 

堅如石,(견여석) 厚而無竅,(후이무규)

그 방법으로 기른 표주박은 돌처럼 단단하며 구멍을 뚫을 수가 없습니다.

 

獻之(헌지)"

그것을 드리겠습니다.”

 

仲曰:(중왈)

전중이 대답했다.

 

" 夫瓠所貴者,(부호소귀자) 謂其可以盛也(위기가이성야)

표주박은 구멍을 뚫고 물건을 넣어야 쓸모가 있습니다.

 

今厚而無竅,(금후이무규) 則不可以剖以盛物; (칙부가이부이성물)

그런데 구멍을 뚫을 수 없다니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지 않습니까.

 

而任重如堅石,(이임중여견석) 則不可以剖而以斟(칙부가이부이이짐)

吾無以瓠爲也" (오무이호위야)

그런 표주박이라면 필요가 없습니다.”

 

:() " ,() 穀將弃之(곡장기지)"

굴곡이 말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저도 그것을 버릴 작정이었습니다.”

 

今田仲不恃人而食,(금전중부시인이식)

어쨌든 전중은 남의 덕택에 먹고살기를 좋아하지 않았었는데

 

亦無益人之國,(역무익인지국)

그렇다고 나라를 위해서 일하는 것도 없다.

 

亦堅瓠之類也(역견호지류야 )

이것은 돌 같은 표주박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