策02西周023-03 어려운 요구를 끊는 법 (3)
君令弊邑以此忠秦(군령폐읍이차충진),
그것은 바로 그대 설공이 우리 약한 서주로 하여금 진나라를 받들게 해준 셈이 되며,
秦得無破(진득무파),
진나라의 입장에서 보면 손해도 없이,
而以楚之東國自免也(이이초지동국자면야),
초나라 동쪽 땅으로써 스스로 화를 면한 셈이 되는 것이니,
必欲之(필욕지).
틀림없이 그렇게 하고자 할 것입니다.
楚王出(초왕출), 必德齊(필덕제),
초왕은 그에 따라, 틀림없이 제나라에게 고맙다고 할 것이며,
齊得東國而益强(제득동국이익강),
제나라는 동쪽 땅을 얻어 더욱 강해질 것이요,
而薛世世無患(이설세세무환).
당신의 설땅은 대대로 근심거리가 없게 될 것입니다.
秦不大弱(진불대약),
진나라는 그리 약한 나라가 아닙니다.
而處之三晉之西(이처지삼진지서),
삼진의 서쪽에 닿아 있으면서 삼진에게는 큰 위협이 되고 있으므로,
三晉必重齊(삼진필중제).”
그들 삼진은 틀림없이 제나라를 중히 여길 것입니다.
薛公曰(설공왈):
설공이 대답했다.
“善(선).”
좋습니다.
因令韓慶入秦(인령한경입진),
그리고는 한경을 진나라로 보내 놓고,
而使三國無攻秦(이사삼국무공진),
삼국으로 하여금 진나라를 공격하지 않도록 하였다.
而使不藉兵乞食於西周(이사부자병걸식어서주).
아울러 서주에게도 병사와 군량을 요구하지 않게 되었다.
'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策02西周024-02 이궐의 전투 (2) (0) | 2007.08.25 |
---|---|
策02西周024-01 이궐의 전투 (1) (0) | 2007.08.25 |
策02西周023-02 어려운 요구를 끊는 법 (2) (0) | 2007.08.24 |
策02西周023-01 어려운 요구를 끊는 법 (1) (0) | 2007.08.24 |
策01東周022-00 엄수의 난 (0) | 2007.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