策03秦策044-00 소진이 진(秦)혜왕에게 유세하다.(1)
秦王曰(진왕왈):
秦王이 말하였다.
“寡人聞之(과인문지):
“寡人이 듣기로
毛羽不豐滿者(모우불풍만자), 不可以高飛(불가이고비);
‘깃털이 풍부하지 못한 새는 높이 날 수가 없고,
文章不成者(문장불성자), 不可以誅罰(불가이주벌).
文章을 이루지 못한 자는 誅罰을 마구 베풀 수 없으며,
道德不厚者(도덕불후자), 不可以使民(불가이사민),
도덕이 돈후하지 못한 자는 백성을 부릴 수 없고,
政敎不順者(정교불순자), 不可以煩大臣(불가이번대신).
政敎가 順하지 못한 자는 대신을 번거롭게 부리지 못한다’고 하였소.
今先生儼然不遠千里而庭敎之(금선생엄연불원천리이정교지),
이제 선생은 儼然하게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오셔서 조정에서 나를 가르치려 하시는데,
願以異日(원이이일).”
후일에 가르침 받기를 원합니다.”
蘇秦曰(소진왈):
소진이 말하였다.
“臣固疑大王之不能用也(신고의대왕지불능용야).
“저는 본디 대왕께서 제 말을 쓰지 못하시리라 의심하였었습니다.
昔者(석자), 神農伐補遂(신농벌보수),
옛날, 神農氏는 補遂를 쳤고,
黃帝伐涿鹿而禽蚩尤(황제벌탁록이금치우),
黃帝는 탁록(涿鹿)에서 치우(蚩尤)를 쳐서 사로잡았으며,
堯伐驩兜(요벌환두), 舜伐三苗(순벌삼묘),
堯는 驩兜를 벌하였고, 舜은 三苗를 벌하였으며,
禹伐共工(우벌공공),
禹는 共工을 쳤습니다.
湯伐有夏(탕벌유하), 文王伐崇(문왕벌숭),
그리고 湯은 有夏를 치고, 文王은 崇을 쳤으며,
武王伐紂(무왕벌주),
武王은 紂를 쳤으며,
齊桓任戰而伯天下(제환임전이백천하).
춘추오패 중에 齊 桓公은 전쟁을 하여 천하를 제패하였습니다.
由此觀之(유차관지), 惡有不戰者乎(오유전자호)?
이렇게 볼진대 어찌 전쟁을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策03秦策046-00 소진이 진(秦)혜왕에게 유세하다.(3) (0) | 2009.04.09 |
---|---|
策03秦策045-00 소진이 진(秦)혜왕에게 유세하다.(2) (0) | 2008.08.30 |
策03秦策043-00 소진의 등장 (0) | 2008.05.28 |
策03秦策042-00 상앙이 거열형에 처해지다. (0) | 2008.05.26 |
策03秦策041-00 상앙의 등장 (0) | 2008.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