策03秦策043-00 소진의 등장
蘇秦始將連橫說秦惠王曰(소진시장연횡설진혜왕왈):
蘇秦이 처음에 連橫說을 秦 惠王에게 유세하였다.
“大王之國(대왕지국), 西有巴‧蜀‧漢中之利(서유파촉한중지리),
“대왕의 국가는 서쪽으로는 巴‧蜀‧漢中의 이익이 있고,
北有胡貉‧代馬之用(북유호맥대마지용),
북쪽으로는 胡地에서 나는 貉皮와 代 땅에서 나는 良馬로 군용에 충당할 수 있습니다.
南有巫山‧黔中之限(남유무산검중지한),
남쪽으로는 巫山과 黔中 등 天險의 요새가 있으며,
東有肴‧函之固(동유효함지고).
동쪽으로는 肴山(崤山)과 函谷關의 견고한 요새가 있습니다.
田肥美(전비미), 民殷富(민은부),
농토는 비옥하고 백성은 부유하여
戰車萬乘(전거만승), 奮擊百萬(탈격백만),
戰車 1만 乘에 奮擊 1백 만 명을 모을 수 있습니다.
沃野千里(옥야천리), 蓄積饒多(축적요다),
沃野가 1천 리나 뻗쳐 있고 蓄積이 풍부하며
地勢形便(지세형편),
地勢 또한 더없이 좋습니다.
此所謂天府(차소위천부), 天下之雄國也(천하지웅국야).
이는 이른바 天府라는 곳으로 천하의 雄國입니다.
以大王之賢(이대왕지현), 士民之衆(사민지중),
그러니 대왕의 현명함과 많은 백성들에다
車騎之用(거기지용), 兵法之敎(병법지교),
군대를 일으켜 훈련만 잘 시키면
可以幷諸侯(가이병제후), 呑天下(탄천하),
제후들을 겸병하고, 천하를 통일하여
稱帝而治(칭제이치).
帝를 칭하면서 통치할 수 있습니다.
願大王少留意(원대왕소류의),
원컨대 대왕께서 조금 유념해 주십시오.
臣請奏其效(신청주기효).”
청컨대 臣은 그 효험을 상주하겠습니다.”
'戰國策' 카테고리의 다른 글
策03秦策045-00 소진이 진(秦)혜왕에게 유세하다.(2) (0) | 2008.08.30 |
---|---|
策03秦策044-00 소진이 진(秦)혜왕에게 유세하다.(1) (0) | 2008.06.16 |
策03秦策042-00 상앙이 거열형에 처해지다. (0) | 2008.05.26 |
策03秦策041-00 상앙의 등장 (0) | 2008.05.25 |
策02西周040-00 秦 惠王이 죽다 (0) | 2008.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