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을 이루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노자 상편 제9장)
持而盈之
(지이영지)
넘치도록 가득 채우는 것보다
가득 차 있는 상태를
不如其已
(불여기이)
적당할 때 멈추는 것이 좋다
무리해서 계속 유지하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揣而銳之
(췌이예지)
너무 날카롭게 벼르고 갈면
두들겨 날카롭게 만든 칼은 오래가지 못하고
不可長保
(불가장보)
쉽게 무뎌 집니다.
金玉滿堂
(금옥만당)
금과 옥이 집에 가득하면
금은보화를 집안에 가득 쌓아둔다고 해서
莫之能守
(막지능수)
이를 지킬 수가 없다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는 없다.
富貴而驕
(부귀이교)
재산과 명예로 교만해짐은
출세를 해서 잘난 체 하는 것은
自遺其咎
(자유기구)
재앙을 자초한다.
화를 부르는 원인이 되고
功遂身退
(공수신퇴)
일이 이루어졌으면 물러나는 것
일을 이루었으면 물러나는 것이
天之道
(천지도)
하늘의 길이다
천지자연의 이치이다.
'道德經[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어 있음으로 쓰임이 있다 (노자 상편 제11장) (0) | 2012.04.27 |
---|---|
낳고 기르되 소유하려 하지 않는다 (노자 상편 제10장) (0) | 2012.04.26 |
물에게서 배워라 (노자 상편 제8장) (0) | 2012.04.26 |
자신을 버림으로써 얻게 된다. (노자 상편 제7장) (0) | 2012.04.26 |
도는 만물의 어머니이다 (노자 상편 제6장) (0) | 201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