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략三略 상략上略[1]
마음을 얻어라
夫主將之法, (부주장지법)
임금이나 장수의 자리에 있는 자라면
務攬英雄之心, (무람영웅지심)
뛰어난 영웅의 마음을 잡아 자기 심복으로 삼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賞祿有功, (상록유공)
공 있는 자에게는 상을 주고 녹봉을 내리며,
通志于衆. (통지우중)
내가 뜻하는 바를 여러 사람에게 통하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
故與衆同好, 靡不成;(고여중동호 미불성)
그리하여 대중과 좋아하는 바가 일치하게 되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
與衆同惡, 靡不傾. (여중동악 미불경)
또한 대중과 미워하는 바가 일치하게 되면 기울어뜨리지 못할 것이 없다.
治國安家, 得人也;(치국안가 득인야)
한 나라를 다스리고 한 집안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여러 사람의 마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亡國破家, 失人也. (망국파가 실인야)
한 나라를 멸망하게 하고 한 집안을 파멸시키는 것은
여러 사람의 마음을 잃었기 때문이다.
含氣之類, 咸願得其志. (함기지류 함원득기지)
생명이 있는 것들은 모두 자기가 희망하는 것을 이루고자 한다.
'육도삼략[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략三略 상략上略[3] 사물에 대처하여 변하라 (0) | 2012.05.19 |
---|---|
삼략三略 상략上略[2]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0) | 2012.05.19 |
육도삼략 삼략(三略)에 대하여 (0) | 2012.05.19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10章 戰步 (0) | 2012.05.18 |
육도삼략 第6篇 犬韜 第9章 戰騎[2] (0)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