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完]

論語 2.爲政編 5.효(孝)와 예(禮)

강병현 2012. 9. 25. 15:57

論語 2.爲政編 5.효(孝)와 예(禮)

 

孟懿子問孝.(맹의자문효)한대 子曰, “無違.”(자왈 무위)니라

맹의자가 효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기지 않는 것이다.”

樊遲御, (번지어)려니

번지가 수레를 몰았다.

子告之曰, (자고지왈)이

공자가 그에게 말씀하셨다.

“孟孫問孝於我,(맹손문효어아)어늘 我對曰,(아대왈) 無違.” (무위) 호라

맹손이 나에게 효를 묻기에 어기지 않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樊遲曰,(번지왈) “何謂也?” (하위야)이꼬

번지가 “무슨 뜻입니까?”하고 묻자

子曰,(자왈) “生事之以禮, (생사지이례)하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가 살아계실 때에 예로 섬기고

死葬之以禮, (사장지이례)하며

돌아가시면 장사지낼 때도 예로 모시고

祭之以禮.”(제지이례)니라.

제사도 예로서 지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