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3.八佾編 2.예악도 문수에 맞게 해야 한다.
三家者以雍徹. (삼가자이옹철)이러니
세 대부의 집에서 제사를 끝낼 때, 옹의 시를 읊었다.
子曰, (자왈)
이에 대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相維辟公,(상유벽공)이어늘 天子穆穆’,(천자목목)을
시경 옹편에 “제후들이 천자를 도우니 기뻐하시는 천자의 모습은 아름답다.“
고 하셨다.
奚取於三家之堂?”(해취어삼가지당)인고
이 시를 어찌하여 그들 세 대부의 사당에서 취하여 쓰는가?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3.八佾編 4.예의 근본은? (0) | 2012.10.06 |
---|---|
論語 3.八佾編 3.예악은 인을 떠날 수가 없다. (0) | 2012.10.04 |
論語 3.八佾編 1.팔일은 천자의 춤이다. (0) | 2012.10.04 |
論語 2.爲政編 24.아첨과 용기 (0) | 2012.10.03 |
論語 2.爲政編 23.과거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 (0) | 201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