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공격을 하였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강병현 2012. 10. 11. 18:02

한비자韓非子 제1편第1篇 초견진初見秦 :공격을 하였으면 끝을 보아야 한다.

 

- 韓非子 第1篇 初見秦[3]-

 

趙氏,(조씨) 中央之國也, (중앙지국야)

조나라는 중앙에 위치한 나라로

難民所居也, (난민소거야)

이웃 여러 나라에서 백성들이 모여들어 섞여 살고 있었기 때문에

其民輕而難用也.(기민경이난용야)

그들은 경박하고 쓸모가 없었습니다.

號令不治,(호령불치) 賞罰不信, (상벌불신)

명령은 제대로 하달되지 못하였고, 상벌은 믿을 수 없었으며,

地形不便,(지형불편) 下不能盡其民力. (하불능진기민력)

지형도 지키기에 불편하였을 뿐 아니라. 국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

彼固亡國之形也,(피고망국지형야) 而不憂民萌, (이불우민맹)

이와 같이 조나라는 망국의 형세에 있으면서도 민중을 돌보지 않고

悉其士民軍於長平之下, (실기사민군어장평지하)

장평의 아래에서 백성을 모두 강제로 징발하여

以爭韓上黨. (이쟁한상당)

한나라의 상당과 싸우고 있었습니다.

大王以詔破之,(대왕이조파지) 拔武安.(발무안)

그 때 대왕께서는 이것을 공격하여 무안을 공략하셨습니다.

當是時也(당시시야), 趙氏上下不相親也,(조씨상하불상친야)

이 때 그들은 상하가 서로 믿지 않았고,

貴賤不相信也. (귀천불상신야)

귀천이 화합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然則邯鄲不守.(연즉한단불수)

조나라의 서울 한단을 지키지 못한 것입니다.

拔邯鄲,(발한단) 筦山東河間,(종산동하간)

만일 이 때 진이 한단을 격파하고 산동 하간을 지배한 다음,

引軍而去,(인군이거) 西攻修武, (서공수무)

군대를 이끌고 가서 다시 서쪽으로 나가 수무를 공격하여

踰華絳上黨. (유화황상당)

대와 상당을 위협하였더라면

代四十六縣,(대사십육현) 上黨七十縣,(상당칠십현) 不用一領甲,(불용일령갑)

대의 46현과 상당의 70현을 한 명의 전사자도 내지 않고

不苦一士民,(불약일사민) 此皆秦有也.(차개진유야)

한 명의 백성을 고생시키지 않고, 진나라의 영토로 만들 수 있었을 것입니다.

代, 上黨不戰而畢爲秦矣, (대 상당불전이필위진의)

이와 같이 대와 상당을 싸우지 않고도 진나라의 소유로 두고,

東陽,(동양) 河外不戰而畢反爲齊矣,(하외부전이필반위제의)

동양하의 외부는 싸우지 않고도 제나라의 땅이 되었을 것이며,

中山,(중산) 呼沲以北不戰而畢爲燕矣. (호시이북부전이필위연의)

중산 이북의 토지도 싸우지 않고 모두 연나라의 소유가 되었을 것입니다.

然則是趙擧,(연즉시조거)

그러면 조나라가 진나라 때문에 약화 되어가고 있는 것을 보면

趙擧則韓亡, 韓亡則荊,

조나라가 약해지면 한나라가 망하고, 한나라가 망하면

魏不能獨立,(위불능독립)

위나라가 독립하지 못합니다.

荊, 魏不能獨立, (형 위불능독립)

초와 위나라가 독립을 이룩할 수 없게 되어

則是一擧而壞韓, (즉시일거이괴한)

이렇게 되면 단번에 한나라를 멸망시키고

蠹魏, 拔荊, (두위 발형)

위나라를 격파하여 초나라를 공략할 수 있고,

東以弱燕, 齊, (동이약연 제)

그 뿐만 아니라 동쪽의 연과 제나라를 약화시키고

決白馬之口以沃魏氏, (결백마지구이옥위씨)

연나라 백마강의 하구를 부수게 하여 황하 물로 위나라를 쳐

是一擧而三晉亡, (시일거이삼진망)

일거에 삼진인 한과 위와 조나라를 멸망케 하면

從者敗也. (종자패야)

동맹은 저절로 해산될 것이며,

大王垂拱以須之, (대왕수공이수지)

대왕께서 그것을 기다리고 계시는 동안

天下編隨而服矣,(천하편수이복의) 霸王之名可成.(패왕지명가성)

천하의 제후들은 슬슬 항복해 올 것이니 가히 패왕이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而謀臣不爲,(이모신불위) 引軍而退,(인군이퇴)

그런데 모신들은 그러한 방책을 채택하지 않고 군대를 철수시켜

復與趙氏爲和. (복여조씨취화)

또 다시 조나라와 강화조약을 맺은 것입니다.

夫以大王之明,(부이대왕지명) 秦兵之强, (진병지강)

대왕께서는 영특하시고, 더욱이 군대는 정예함에도 불구하고

棄霸王之業,(기패왕지업) 地曾不可得,(지증불가득)

패왕이 될 수 있는 대업을 버리시고 적국의 토지를 조금도 빼앗지 않고,

乃取欺於亡國, (내취기어망국)

오히려 패망한 조나라에 기만을 당하고 계시다고 생각됩니다.

是謀臣之拙也. (시모신지졸야)

그것은 말할 것도 없이 신하들의 처사가 졸렬하기 때문입니다.

且夫趙當亡而不亡, (차부조당망이불망)

또 조나라가 패망의 때를 당해서 패망하지 않고

秦當霸而不霸, (진당패이불패)

진나라가 패권의 기회를 잡고도 패자가 되지 못한 것입니다.

天下固以量秦之謀臣一矣. (천하고이량진지모신일의)

이 사실은 세상 사람들이 진의 모신을 무위무능하다고 생각하는

첫째 이유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乃復悉士卒以攻邯鄲, (내복실사졸이공한단)

그리하여 또 군대를 차출하여 조나라의 한단을 공격했던 것인데

不能拔也,(블능발야) 棄甲兵弩, (기갑병노)

함락하지 못하고, 무기와 군사를 버리고,

戰竦而卻, (전송이각)

싸움을 두려워 하여 퇴각하고 말았습니다.

天下固已量秦力二矣. (천하고이량진력이의)

이 사실은 진의 실력을 얕보게 된 둘째 이유가 됩니다.

軍乃引而退,(군내인이퇴) 幷於李下,(병어이하)

한단에서 퇴각한 군대는 이백의 성 밑에 집결했다가

大王又幷軍而至,(대왕우병군이지)

대왕께서 군대를 모아 이르러

與戰不能剋之也, (여전불능극지야)

패왕의 군대와 함께 조나라와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고

又不能反,(우불능반) 運罷而去,(운파이거)

또 돌아가지도 못하고, 지쳐 후퇴하고 말았습니다.

天下固量秦力三矣. (천하고량진력삼의)

그러므로 이 사실이 진의 실력을 얕보게 한 셋째 원인입니다.

內者量吾謀臣,(내자량오모신) 外者極吾兵力.(외자극오병력)

안으로는 신하의 무능과 무지함이 드러났고 밖으로는 병력을 지치게 한 것입니다.

由是觀之,(유시관지) 臣以爲天下之從,(신이위천하지종) 幾不難矣.(기불난의)

이 점에서 보아도 열국 사이의 동맹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內者,(내자) 吾甲兵頓,(오갑병돈) 士民病, (사민병)

안으로는 군대가 지쳐 있고, 국민은 고생을 하고 있었으며,

蓄積索,(축적색) 田疇荒,(전주황) 囷倉虛.(균창허)

쌓아 놓은 것은 빼앗기고, 농토는 황폐하여 곡창은 비게 되었고,

外者,(외자) 天下皆比意甚固.(천하개비의심고)

밖으로는 대왕에 대한 제후국의 적개심이 상당히 공고해진 것입니다.

願大王有以慮之也. (원대왕유이려지야)

대왕께서는 그 점을 잘 살피셔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