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Coleman - warm sand emerald water
論語 3.八佾編 21.이미 지난 일이라 탓하지 않겠다.
哀公(애공)이 問社於宰我(문사어재아)하신대
애공이 재아에게 사당에 대하여 물었다.
宰我對曰(재아대왈)
재아가 대답하기를,
夏后氏(하후씨)는 以松(이송)이오
"하 나라에서는 소나무를 심었고,
殷人(은인)은 以栢(이백)이오
은나라에서는 잣나무로 만들었으며,
周人(주인)은 以栗(이율)이니
주나라에서는 밤나무를 심었습니다.
曰(왈) 使民戰栗(사민전율)이니이다
밤나무를 심은 것은 백성들을 두렵게 하려고 한 것입니다."
子聞之(자문지)하시고 曰(왈)
공자가 재아의 말을 듣고 말했다.
成事(성사)라 不說(불설)하며
"이미 이루어진 일이라 더 이상 말하지 않으며,
遂事(수사)라 不諫(불간)하며
그만둘 수 없는 일이라 간하지 않으며,
旣往(기왕)이라 不咎(불구)로다
이미 지나간 일이라 탓하지 않으리라."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3.八佾編 23.공자의 음악관(音樂觀) (0) | 2012.10.25 |
---|---|
論語 3.八佾編 22.관중은 그릇이 작다. (0) | 2012.10.25 |
論語 3.八佾編 20.조화를 이룬 감정 (0) | 2012.10.25 |
論語 3.八佾編 19.임금이 예의가 있으면 신하가 충성한다. (0) | 2012.10.25 |
論語 3.八佾編 18.예를 다하는 것은 아첨이 아니다. (0) | 201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