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하지 않은 사람도 도를 간직하고는 있다
(노자 하편 제62장)
道者萬物之奧(도자만물지오)
도는 모두의 아늑한 곳
善人之寶(선인지보)
선한 사람에게 보배요
不善人之所保(불선인지소보)
선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은신처이다
美言可以市(미언가이시)
아름다운 말은 널리 팔리고
尊行可以加人(존행가이가인)
존경스런 행위는 남에게 뭔가를 더해 줄 수도 있다
人之不善(인지불선)
사람 사이의 선하지 않다고 하는 것도
何棄之有(하기지유)
어찌 버릴 것이 있겠는가
故立天下(고립천하)
그러므로 천자를 옹립하고
置三公(치삼공)
삼공을 임명할 때
雖有拱壁以先駟馬(수유공벽이선사마)
네 필 말이 끄는 수레를 앞세우고 아름드리 옥을 바치나
不如坐進此道(불여좌진차도)
오히려 무릎을 끊고 이 도를 바치는 것이 더 좋다
古之所以貴此道者何(고지소이귀차도자하)
옛사람이 이 도를 귀하게 여긴 까닭이 무엇인가
不曰以求得(불왈이구득)
도로써 구하면 얻고
有罪以免邪(유죄이면사)
죄가 있어도 면할 수 있다고 하지 않는가
故爲天下貴(고위천하귀)
그러므로 세상이 이를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道德經[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으려 하면 도리어 놓치게 된다. (노자 하편 제64장) (0) | 2014.01.24 |
---|---|
큰일은 사소한 데서 시작된다 (노자 하편 제63장) (0) | 2014.01.23 |
큰 나라가 작은 나라에 겸손해야 한다 (노자 하편 제61장) (0) | 2014.01.23 |
큰 나라를 다스림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 (노자 하편 제60장) (0) | 2014.01.23 |
한결같은 검소함이 도를 따르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9장) (0) | 201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