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나라가 작은 나라에 겸손해야 한다
(노자 하편 제61장)
大國者下流(대국자하류)
큰 나라는 강의 하류
天下之交(천하지교)
온 세상이 모여드는 곳
天下之牝(천하지빈)
그것은 세상의 여인
牝常以靜勝牡(빈상이정승모)
여성은 언제나 그 고요함으로 남성을 이깁니다.
以靜爲下(이정위하)
고요히 스스로를 낮춥니다.
故大國以下小國(고대국이하소국)
그러므로 큰 나라는 작은 나라 아래로 스스로를 낮춤으로
則取小國(즉취소국)
작은 나라를 얻고
小國以下大國(소국이하대국)
작은 나라는 큰 나라를 향해 내려감으로
則取大國(즉취대국)
큰 나라를 얻습니다.
故或下以取(고혹하이취)
그러므로 한 쪽은 스스로를 아래에 있음으로 남을 얻고
或下而取(혹하이취)
다른 한 쪽은 스스로 내려감으로 남을 얻는다.
大國不過欲兼畜人(대국불과욕겸축인)
큰 나라가 오로지 바랄 것은 사람을 모아 보양하는 것
小國不過欲入事人(소국불과욕입사인)
작은 나라가 오로지 바랄 것은 들어가 남을 섬기는 것
夫兩者各得其所欲(부량자각득기소욕)
큰 나라 작은 나라가 자기들 바라는 바를 얻으려면
大者宜爲下(대자의위하)
큰 나라가 먼저 스스로를 낮추어야 할 것이다
'道德經[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일은 사소한 데서 시작된다 (노자 하편 제63장) (0) | 2014.01.23 |
---|---|
선하지 않은 사람도 도를 간직하고는 있다 (노자 하편 제62장) (0) | 2014.01.23 |
큰 나라를 다스림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 (노자 하편 제60장) (0) | 2014.01.23 |
한결같은 검소함이 도를 따르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9장) (0) | 2014.01.22 |
절대적인 진리란 없는 것이다 (노자 하편 제58장) (0) | 201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