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二 爲學 25. 시련과 고생을 한 후에야 익숙해진다.
明道先生曰(명도선생왈)
명도 선생이 말하기를,
自舜發於畎畝之中(자순발어견무지중)
"순(舜) 임금이 농촌에서 기용된 것이라든지,
至孫叔敖擧於海(지손숙오거어해)
손숙오(孫叔敖: 百里奚)가 시정(市井)에서 등용된 것에 이른 것처럼,
若要熟也(약요숙야)
만약 모든 것에 익숙하려면,
須從這裏過(수종저리과)
모름지기 이 길을 겪어야만 하는 것이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3 상(第三)
견무(畎畝)는 밭(田)의 고랑과 이랑을 이르는 말인데, 흔히 농촌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따라서 발어견무(發於畎畝)는 순(舜) 임금이 농촌에서 기용되어 천자가 된 것을 말한다. 또한 백리해(百里奚)는 진(秦)나라 목공(穆公)을 섬긴 명재상이다.
이 대목은 모든 일에 있어서 성숙되기를 바란다면, 여러 가지 시련과 고생을 체험한 연후라야 얻는 것이라는 말이다. 책을 보거나, 남의 장점을 취하는 것 보다는 실제로 몸에 체득한 것이 숙련의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권하고 있는 것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二 爲學 27. 책을 외우는 것과 널리 안다는 것의 차이. (0) | 2014.08.05 |
---|---|
卷二 爲學 26. 증삼은 노둔함으로써 마침내 도를 얻었다. (0) | 2014.08.05 |
卷二 爲學 24. 마음을 크고 넓게 하여 기초를 튼튼히 하라. (0) | 2014.07.25 |
卷二 爲學 23. 상대의 장점을 본받으라. (0) | 2014.07.25 |
卷二 爲學 22. 뜻은 원대하게 하고 실천은 능력을 헤아려라. (0) | 201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