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二 爲學 44、건도(乾道)와 곤도(坤道)를 알아야 한다.
"忠信所以進德,(충신소이진덕)
충실과 믿음은 덕으로 나아가게 하는 길이요
修辭立其誠,(수사립기성) 所以居業者,(소이거업자)
말을 닦아 그 정성을 세우는 것은, 학업을 닦는 방법이니,
乾道也。(건도야)
이것이 건도이다
"敬以直內,(경이직내) 義以方外"者,(의이방외자)
공경으로써 안을 곧게 하고 의로써 밖의 태도를 방정하게 하는 것
坤道也。(곤도야)
이것이 곤도이다.
<정씨유서(程氏遺書) 제십일(第十一)>
忠信所以進德,(충신소이진덕)修辭立其誠,(수사립기성) 所以居業者,(소이거업자)이란 말은, <주역> 건쾌 문언전에 있는 말이다.
곧 쉬지 않는 도를 말한 것으로 건도(乾道)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경이직내(敬以直內) 의이방외(義以方外)말은 천리에 순응하며 도를 지키므로 이를 곤도(坤道)라고 하였다.
이 대목은 <주역> 건쾌 구3효와 육2효의 문언전을 풀이한 것으로, 건도(乾道)와 곤도(坤道)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즉 충신과 바른말 참된 마음은 덕을 기르고 학업을 보존하는 것이 끊임없이 쉬지 않아야 하며, 바르고 의에 맞는 것은 마음과 행동을 방정하게 하는 군자의 길이라는 명도선생의 말이다.
'近思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二 爲學 46、군자는 백성을 진작시키고 자기의 덕을 기른다. (0) | 2015.09.08 |
---|---|
卷二 爲學 45、학문의 목표와 결과를 확인해야 한다. (0) | 2015.09.08 |
卷二 爲學 43. 말이 충신(忠信)하고 행동을 조심하라. (0) | 2014.10.17 |
卷二 爲學 42. 자연 속에서 진실과 거짓을 깨달아야 한다. (0) | 2014.10.17 |
卷二 爲學 41. 스스로 얻는 것이 자득(自得)이다.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