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12.顔淵編 6.총명(聰明)의 뜻
子張問明(자장문명)한 대
자장이 현명한 것을 물으니
子曰浸潤之譖(자왈침윤지참)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젖어들어는 비방과
膚受之愬(부수지소)가
살에 닿을 듯한 절실한 알림에도
不行焉(불행언)이면
행하지 아니하면
可謂明也已矣(가위명야이의)로라
현명하다고 이를 것이다.
浸潤之譖(침윤지참)과
늦어들어 가는 비방과
膚受之愬(부수지소)가
살에 닿는 듯한 절실한 알림에도
不行焉(불행언)이면
행하지 아니하면
可謂遠也已矣(가위원야이의)니라
식견이 고원하다고 할 것이다.” 고 했다
'논어(論語)[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12.顔淵編 8.형식과 내용 (0) | 2016.02.21 |
---|---|
論語 12.顔淵編 7.백성의 신망은 나라의 근본이다. (0) | 2016.02.21 |
論語 12.顔淵編 5.군자는 외롭지 않다. (0) | 2016.02.20 |
論語 12.顔淵編 4.군자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0) | 2016.02.20 |
論語 12.顔淵編 3.인(仁)은 말을 삼가하는 것이다. (0) | 2016.02.20 |